본문 바로가기
수능, LEET 독서/인문학

동양에서의 천의 의미 [2010학년도 9월/인문학]

by Gosamy 2021. 11. 27.
반응형

 

 

  동양에서 ‘천(天)’은 그 함의가 넓다. 모든 존재의 근거가 그것으로부터 말미암지 않는 것이 없다는 면에서 하나의 표본이었고, 모든 존재들이 자신의 생존을 영위하고 그 존재 가치와 의의를 실현하는데도 그것의 이치와 범주를 벗어날 수 없다는 면에서 하나의 기준이었다. 그래서 현실 세계 안에서 인간의 삶을 모색하는 데 관심을 두었던 동양에서는 인간이 천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삶의 길이 달리 설정되었을 만큼 천에 대한 이해가 다양하였다.

 

  천은 자연현상 가운 에게 가장  향을 미치는 것이자 가장  뚜렷하게 파악되는 현상으로 여겨졌. 경을 주로 하는 문화적 특성상 자연현상과 기후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시된 만 천의 표면적인 모습  용 면에서 천을 파악하려는 경향이 짙었. 그래서 천은 자연적 현상과   포괄하는 자연천(自然天)’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천 개념하에서 인은 도적 자이 없 만 아니라 자연 변화의 원인과 의지도 알 수 없. 이에 따라 천은 신성한 대상으로 배되, 여러 자연신 가운 하나로 생. 특히 상제(上帝)와 결부으로 모든 것을 주재하는 절대적인 권능을 가진 상제천(上帝天)’ 개념이 자리 잡았. 길흉을 주재하고 생사여탈권까지 관장하는 교적인 의미로 그 성이 변화한 것이다. 가치중적이었던 천이 의지를 가진 절대적 권능 재로 수용되면서 정치적인 개념으로 천명(天命)’ 장하. 그리고 통치자들은 천의 명을 통해 통치을 부여받았, 천의 의지인 천명은 제사 을 통해 통치자만 알 수 있는 것으로 정되. 그리하여 천명은 통치자가 력을 행사하고, 의 정통성을 보장하는 거가 되다.

 

  그러나 점적이고 배타적인 천명에 거한 력 행사는 부용을 가져왔. 적 경계심이 결여된 통치자의 력 행사는 성에 대한 억압의 계기로 용하. 통치의 부용이 심화에 따라 천에 대한 성이 제기되,  성을 통해 천명 의식은 수정되. 그리고 천은 명을 주다가도 통치자가 정치를 잘못하면 언제나 그 명을 박탈 .’, ‘천은 성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는 생이 현실화되. 천명은 계속 수용되지만, 그것의 불변성, 점성, 파성 은 수정되, 그 기저에는 도적 의미로서 의리천(義理天)’ 개념이 자리하다.

 

  천명 의식의 변화와 물려 천 개념은 복합적으로 수용되. 상제로서의 천 개념이 개방되면서 주재적 면이 도 면으로 수용되, ‘의리천 개념은 더 심화되어 천은 인의 도성과 규범 거로 아들여. 천을 인 내면으로 어들여 인간 본성을 자연한 것이자 도적인 것으로 주하. 천이 도덕 및 간 본성과 결부에 따라 인 내면에 있는 천으로서의 성을  하면 도을 실현함은 물, 천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겨졌. 내면화된 천은 비도적 행위에 대한 제어 장치 할을 하는 심의 거로도 수용되어 천의 도적 의미는 더 강조되. 천명 의식의 변화와 확장된 천 개념의 결에 따라 천은 초성과 내재성을 가진 재로서 아들여 행위의 자성과 타성을 이어 내는 기이 되어 인간 삶의 중요한 거로서 그 위상이 강화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