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적분학(Calculus)20

방향도함수와 그래디언트(Directional derivative and Gradient) 과학과 공학에서 사용하는 미분연산자 중 으뜸인 것이 바로 나블라(Nabla) 연산자입니다. 스칼라 함수에 이 기호 $\nabla$ 를 달게 되면 구배(勾配), 기울기벡터의 의미를 가지게 되고 이 기호는 나블라(nabla), 델(del)이라고도 부르는데, 보통 기울기의 의미를 가질 때는 단순히 그래디언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는 고등학교 때 배웠던 여러 다항함수, 초월함수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것과 비슷하긴 하지만, 그보다 조금 더 넓은 의미를 가지는 미분 연산자(operator)의 개념입니다. 또한 스칼라를 벡터로 만들어주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벡터 연산자라 부르기도 합니다. 자연현상과 기술을 나타내는 수많은 개념들은 벡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벡터에 관해 미분하고 적분하는 벡터 미적분학에서 그.. 2023. 1. 6.
직교/구면/원통 좌표계에서 차원 요소, 기울기, 발산, 회전, 라플라스 연산 그래디언트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수학적·물리적 의미를 갖는 양들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벡터함수를 미분하거나 적분할 때는 좌표계에 따라 그 꼴이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쓰는 세 좌표계에 대한 미분량(차원 요소), 기울기, 발산, 회전, 라플라스 연산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증명은 하지 않습니다. 직교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변위 요소 : $d\mathbf{r}=dx\,\mathbf{i}+dy\,\mathbf{j}+dz\, \mathbf{k}$ 면적 요소 : $dx,dy,dz$ 중 두개를 곱함 부피 요소 : $d\tau = dx\,dy\,dz$ 발산 : $\nabla \cdot \mathbf{F}=\displaystyle\frac{\partial F_x}{\partial x}+\.. 2022. 2. 14.
그래디언트, 나블라, 델 연산자 (Gradient, nabla, Del operator) 과학과 공학에서 사용하는 미분연산자 중 으뜸인 것이 바로 그래디언트(gradient) 연산자 입니다. 그래디언트는 구배(勾配), 기울기벡터, 나블라(nabla), 델(del)이라고도 부르는데, 그래디언트가 가장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다만 엄밀하게 따지면 단순히 그래디언트라고 하면 주로 스칼라 함수에 1번 연산자가 붙어 기울기 벡터를 나타내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정확히 $\nabla$ 기호만을 가리킬 때는 엄밀하게는 '델(del)' 연산자 또는 '나블라(nabla)', 혹은 '그래디언트 연산자'라고 읽는게 적절하지만, 대충 그래디언트라고 퉁쳐서 부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인장도 그렇게 부를 것입니다. 그래디언트는 단순히 고등학교 때 배웠던 여러 다항함수, 초월함수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 2021. 12. 8.
선적분의 기본정리와 보존 벡터장 (Fundamental Theorem of Line Integrals and Conservative Vector Field) 이번 시간에는 보존 벡터장의 여러가지 성질을 정리해 볼 것입니다. 미적분학의 마지막 관문 벡터해석에서 다루는 주제는 벡터장인데, 보존 벡터장은 물리와의 연결성 때문에 특히 더 중요합니다. 1. 보존 벡터장과 선적분의 기본정리 ​ 힘과 퍼텐셜에너지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하면 F는 수학에서 '보존 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이라 부르고 물리에서는 '보존력(Conservative force)' 이라 부릅니다. $$\mathbf{F}=\nabla f$$ 이 때 어떤 물체가 점 $A$에서 $B$까지 이동하는 동안 이 힘 $\mathbf{F}$가 한 일을 구해보려고 합니다. 위 식의 양변에 거리에 대한 적분을 시행하면 $$-\int_{A}^{B}\mathbf{F}\cdot d\mathb.. 2021. 12. 7.
보존력과 비보존력이 한 일 (Work done by Conservative/Non-conservative Force) 이제부터는 벡터함수의 선적분을 다루어, 선적분의 기본정리를 설명하려고 하는데 선적분의 기본정리를 설명하려면 보존 벡터장에 관한 분석을 병행해야 하고, 이에 관한 전체적인 스토리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물리 이야기를 빼놓고 진행하기가 어렵습니다. 보존력과 비보존력에 관한 물리적 설명을 보충하려고 합니다. 1. 중력에 관하여 ​ 어떤 벡터장이 보존적이라는 것은, 스칼라 함수의 그래디언트(gradient)로 벡터장이 표현될 수 있음을 뜻합니다. 이 스칼라 함수는 퍼텐셜 함수라고도 합니다. $$\mathbf{F}=\nabla f$$ 그런데 여기서 보존이나 퍼텐셜은 물리에서 마 '보존력(Conservative Force)' 과 '비보존력(Non-conservative Force)'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존력이란.. 2021. 12. 7.
선적분의 정의와 스칼라 함수의 선적분 (Line Integral) 고등학교 수학 과정에서는 x축이나 y축만을 따라 적분을 하여 정적분의 기하적 의미를 넓이로 이해할 수 있었지만, 대학 수학에서의 적분은 대개의 경우 이 개념을 확장시킨 선적분에 해당합니다. 1. 선적분의 탄생 과정 정적분의 경우, $\displaystyle\int_{a}^{b}f(x)dx$ 의 형태로 생겼는데, 이것의 의미는 2차원 좌표평면에서 $f(x)$를 $x=a$부터 $x=b$까지 적분한 것입니다. $f(x)>0$이고 $a 2021. 12. 6.
벡터장이란? (Vector Field) 벡터 미적분학은 학부의 자연계 학생들이 공부하는 미적분학(Calculus)의 마지막 꼬리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적분학 책 내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받는 부분입니다. ​ 그러나 벡터 미적분학 부분의 내용, 즉 크게 보면 벡터장, 선적분의 기본정리, 선적분, 그린정리, 스토크스 정리, 발산 정리 등은 고학년에서 배우는 수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추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스토크스 정리나 발산 정리 같은 경우에는 물리적 해석을 꼭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이것들이 왜 회전과 발산에 관한 것인지 이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 미적분학 후반은 보통 극좌표를 배우고 난 다음, 중적분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고, 마지막에 벡터 미적분이 등장합니다. 이 포스팅 카테고리에서는 벡터 미적분학에 대한 전반적인 .. 2021. 12. 5.
테일러 급수와 해석함수 (Analytic function with Taylor series) 해석함수는 과연 해석학(解析學, Analysis)의 보배이며, 1등급 최정예 함수라 할 수 있습니다. 해석학이 무엇일까요? 그 뜻은 의외로 영단어보다 한자를 보는 것이 더 좋은데, 쪼개어(析) 푼다(解)를 말하는 것으로 대상을 아주 잘게 나누어 관찰하겠다는 뜻이기에 극한, 미분, 급수 등의 주제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고등학교 수학과 대학 수학의 거대한 이질성을 장식하는 첫 관문이 바로 대수학, 해석학에 해당합니다. 해석학은 실수까지를 다루느냐, 복소수까지 다루느냐에 따라서 구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복소해석학은 비단 해석학적으로 중요한 것 뿐만이 아니라 복소적분의 테크닉이 전반적인 실함수의 적분에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실해석에 비해 타과에서도 쓸모가 많은 것과 달리, 실해석학은 수학과에서만 배우면서.. 2021. 1. 17.
테일러 정리와 테일러 공식 (Taylor's Theorem and Taylor's Formula) 저번 포스팅에서 했던 멱급수와 테일러 급수에 관한 논쟁, 테일러 전개를 통해 급수를 얻을 조건에 관한 개념들을 이해했다면 실은 절반 정도는 성공했다고 보면 됩니다. 이는 테일러 정리와 공식을 통해 좀 더 견고한 이론을 세워 나갈 수 있는 준비 체계를 모두 갖췄다고 보면 됩니다. 오늘까지만 정복하면 하나 둘 씩 의문증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1. 테일러 정리 정리($CC$) 2.3) 테일러 정리(Taylor's Theorem) 함수 $f$ 에 대하여 $f,f',f'',\cdots , f^{(n)}$ 이 $x=a$ 를 포함하는 닫힌구간 $\left [ a,b \right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left ( a,b \right )$ 에서 무한 번 미분가능할 때, 다음을 만족하는 수 $.. 2021. 1. 17.
테일러 급수와 테일러 전개 완전정복 (Taylor Series and Taylor expansion) * 이 글은 1탄이며, 이후 2탄과 이어집니다. * 이 글에 대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는데, 단순히 테일러 공식을 찾고 싶으시면 스크롤을 조금만 내려 공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의 목적은 테일러 급수 및 전개를 이해하는 것이라 충분한 시간과 노력 없이 얼렁뚱땅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 지금부터 시작할 테일러 급수에 관한 논리 전개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고난도 수학을 깨부수는 유일한 방법은 오로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고민하기'라는 스킬을 장착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글은 쓸모가 없음을 반드시 명심하고 들어오시길 권하겠습니다. 1. Introduction 대학에 입학한 자연계 학생이면 아주 적은 예외를 논외하고 반드시 미적분학을 1학년 때 수강해야 합니다. 미적분학을 처음 배우게.. 2021. 1. 16.
멱급수의 연산 및 항별 미분과 적분에 관한 성질 (Operations on Power seires, Term-by-term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여태까지 다뤘던 멱급수 이론은 수렴판정법에 관한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이것만 배우면 마치 앞으로 멱급수에 대한 공부는 주어진 급수가 발산하는지, 수렴하는지를 따지기 위한 것이라고 착각할 수가 있는데, 멱급수는 사실 테일러 정리와 미분방정식의 해법에서 사용하기 위함이 주된 목적입니다. 테일러 급수와 테일러 정리를 위해서 멱급수 간의 연산 규칙이 성립함을 알아야 하므로 간단히 짚고 넘어가봅시다. 오늘 할 내용들은 지극히 당연한 계산들이며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1. 멱급수의 덧셈과 뺄셈 서로 다른 두 멱급수를 항별로 더하거나 뺀다고 생각해봅시다. 두 급수 $\displaystyle\sum_{n=0}^{\infty}a_n\;,\;\displaystyle\sum_{n=0}^{\infty}b_n$ 에 대하여 이 .. 2021. 1. 16.
멱급수, 거듭제곱급수와 수렴집합 (Power series and its Convergence Test) 가장 중요한 급수는 결국 멱급수이고, 멱급수는 수학의 타 분야에 이리저리 그물망을 펼쳐 넓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미적분학에서만 놓고 보더라도, 멱급수는 테일러급수와 테일러전개를 위한 도구로서의 의미가 짙습니다. 나아가 고급 수학으로 접어들게 되면 어렵고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 때 멱급수 기반 풀이인 프로베니우스의 방법을 사용할 때 급수가 주력 도구이기 때문에 미적분학을 공부할 때 급수 파트는 벡터장 파트와 더불어 반드시 머릿속에 장착해 두어야 합니다. 1. 멱급수란 무엇인가? 변수 $x$에 대한 거듭제곱들의 합으로 구성된 무한급수를 멱급수 또는 거듭제곱급수(power series)라고 한다. $$\sum_{n=0}^{\infty}c_nx^n=c_0+c_1x+\cdots +c_nx^n+\cdots$$ $$.. 2021. 1. 16.
비판정법, 절대 비판정법 (Ratio Test, Absolute Ration Test) 미적분학에 등장하는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에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저에게 그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으뜸인 것을 뽑으라고 하면 바로 이 비판정법을 선택할 것입니다. ​ 비판정법은 판정불능한 경우가 발생하지만, 멱급수(power series)의 수렴과 발산을 따지는데 애용되는 도구로서 중요도가 매우 높습니다. 미적분학 급수 파트를 떠나 해석학이나 고급 미적분을 할 때 급수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그 때 잊을 뻔하면 이 비판정법을 사용해서 수렴 여부를 판단할 때가 많습니다. 1. 비판정법 (Ratio Test) 정리($CC$) 1.9 급수 $\displaystyle\sum_{n=0}^{\infty}a_n$ 에 대하여 $\lim_{n\rightarrow \infty}\displaystyle\frac{a_{n+1.. 2021. 1. 16.
극한 비교 판정법 (Limit Comparison Test) 극한비교판정법은 두 수열 $\left \{ a_n \right \},\left \{ b_n \right \}$ 의 비의 극한값이 어떤 값을 갖는지에 따라 두 급수의 수렴/발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판정법입니다. 이 판정법은 주로 주어진 급수가 $n$의 상수승만을 포함하고 있을 때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정리($CC$) 1.8 $a_n\geq 0\;,\;b_n\geq 0$ 이고 $\displaystyle\lim_{n\rightarrow \infty}\frac{a_n}{b_n}=L$ 이라 하자. ① $0 2021. 1. 16.
비교판정법 (Comparison Test) 급수의 수렴 판정에 있어서 이제부터 쓸모있는 몇가지 판정법들을 소개할 것입니다. 이러한 판정법들은 실은 급수 자체의 수렴 여부를 알고 싶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멱급수의 판정을 위해서 학습하는 것이고 이는 다시 테일러 전개를 배우기 위한 밑바탕이 되는 양념들입니다. 그리하여 급수단원은 미적분학과 해석학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여, 앞으로 급수 자체에 대한 판정보다는 테일러 전개, 또 복소해석으로 넘어가서 해석함수에 대한 논의를 완벽하게 건설하기 위한 기초작업에 해당합니다. 계속하여 고급의 수학적 도구를 다루는 입장이라면 미적분학에서 급수 판정을 제대로 끝마치고 넘어가야 합니다. 나중에 다른 과목에서 배울 기회가 전무하기 때문입니다. 1. 급수의 지배 (Dominate.. 2021. 1. 11.
합의 유계 판정법 (Bounded Sum Test) 앞으로 급수를 구성하는 항들은 음수가 아니라고 규정하고 여러 양수인 항들로 구성된 급수들의 특징 및 판정법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급수들을 '양항급수(positive series)'라고 부릅니다. 정리($CC$) 1.6 양항급수 $\sum a_k$ 가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그 부분합 수열이 위로 유계인 것이다. $$\sum a_k=\alpha \;\;\Leftrightarrow \;\; \left | S_n \right |\leq C \;\;\;(\alpha\leq C)$$ 증명) $S_n=a_1+a_2+\cdots +a_n$ 이라 하면 $a_k\geq 0$ 이므로 $S_n\leq S_{n+1}$ 이다. 곧 $S_n$ 은 단조증가수열이므로 단조수렴정리에 의하여 어떤 수 $U$가 있어서 부분합 수열.. 2021. 1. 10.
일반항 판정법, n항 판정법 (nth term Test) 1. 무한급수의 수렴과 발산 ​ '무한급수(infinite series)'는 어떤 수열의 항들을 제 1항부터 2항, 3항, ... 이렇게 쭉쭉 무한히 실제로 더하는 행위가 아닙니다. $$a_1+a_2+a_3+\cdots \not\equiv \sum_{n=1}^{\infty}a_n$$ 그러면 무엇이냐? 무한급수의 정의는 n항까지의 합인 부분합에 대한 극한값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sum_{n=1}^{\infty}a_n=\lim_{n\rightarrow \infty}S_n$$ 좌변에 대한 시그마 전개를 하면, 마치 1항부터 n항, 그리고 그 이상으로 무한히 많은 항을 계속 더해 나가야 하는 것이라 착각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n항까지의 합인 Sn의 극한값이 무한급수의 정의입니다. 고로 수열 Sn 이 .. 2020. 12. 29.
단조수렴정리, 단조수열정리 (Monotonic sequence Theorem) 무한급수의 수렴 판정을 하기에 앞서 수열의 극한의 수렴 여부에 관한 유용한 정리가 하나 있습니다. ​ 원래 수열의 극한 수렴은 그 수열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존재하는 편입니다. 예컨대 등비수열은 공비가 -1보다 크고 1보다 같거나 작으면 바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또, 샌드위치 정리라 부리는 조임정리를 이용해서 몇가지 수열의 수렴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엡실론-델타 논법으로 정의된 수열의 수렴 정의 공식을 써도 될 때가 있지요. ​ 지금 말하려는 수열의 수렴에 관한 정리는 해당 수열이 단조수열일 때를 말하는 것입니다. '단조수열(Monotonic sequences)'이란 감소하지 않는 수열 혹은 증가하지 않는 수열을 말합니다. 단조증가수열 =.. 2020. 12. 29.
급수에서의 유계 (Bounded) 수열의 극한을 정의할 때 유계의 개념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편합니다. 유계라는 말을 아마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유계를 정의하기 전에 꽤나 복잡한 수학용어들이 튀어나와 전제를 하고 설명을 하게 되는데 사실 그렇게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 우리 앞에 실수축이 하나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실수축에서 원하는 지점 두 개를 임의로 선택하면 그 두 점을 잇는 하나의 구간이 형성될 것입니다. 그런데 실수축은 음 쪽이든, 양 쪽이든 모두 무한히 연장되기 때문에 내가 잡은 그 하나의 구간의 최댓값보다 더 큰 실수가 반드시 (내가 잡은 구간의 오른쪽에) 존재하고, 내가 잡은 구간의 최솟값보다 더 작은 실수가 반드시 (내가 잡은 구간의 왼쪽에) 존재할 것입니다. ​ 이렇게 내가 선택한 구간의 임의의 원소에 .. 2020. 12. 29.
수열과 급수의 기초 (Sequence, Series) 이제부터 미적분학의 급수에 관한 주제를 다루게 될 것입니다. ​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수열과 급수와는 다르게, 대학 미적분학에서 급수는 대부분 무한급수를 다루게 되고, 일반적인 수열이나 유한급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당장 미적분학 책의 급수 파트를 꺼내 읽어보면 마지막에 가서 결국 테일러 급수를 이해하는게 목적이 되기 때문입니다. 테일러 전개를 통한 테일러 급수 표현은 여러가지 수학 분야에서 애용되고 해석함수의 기본적 특징으로 수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실은, 극한, 미분, 급수를 하는 이유는 테일러 급수를 하기 위함이고, 테일러 급수는 나아가 해석함수의 태동에 기여한 수학적 도구입니다. 그래서 미적분학과 해석학을 이어주는 것이 바로 테일러 급수라 할 수 있습.. 2020.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