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LEET 독서/인문학

버클리의 주관적 관념론 [2014학년도 9월(A)/인문학]

by Gosamy 2021. 11. 29.
반응형

[그림 1] 예컨대 우리가 사과를 바라본다고 하자. '관념론'에서는, 사과의 존재에 관하여 사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지각하는 대상이 있기에 존재하는 것에 가까운 입장을 취한다. 한발 더 나아가 감각 기관을 통해 지각되지 않으면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이 바로 버클리의 '주관적 관념론'이다.

  세계관은 세계의 존재와 본성, 가치 등에 관한 신념들의 체계이다. 세계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준거인 세계관은 곧 우리 사고와 행동의 토대가 되므로, 우리는 최대한 정합성과 근거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모순되거나 일관되지 못한 신념은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혼란시킬 것이므로 세계관에 대한 관심과 검토는 중요하다. 세계관을 이루는 여러 신념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수준의 신념은 ‘세계는 존재한다.’이다. 이 신념이 성립해야만 세계에 관한 다른 신념, 이를테면 세계가 항상 변화한다든가 불변한다든가 하는 등의 신념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실재론은 이 근본적 신념에 덧붙여 세계가 우리 정신과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주장한다내가 만들어 날린 종이비행기는 멀리 날아가볼 수 없게 되었다 해도 여전히 존재한다이는 명확해서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이지만반실재론자는 이 상식에 도전한다유명한 반실재론자인 버클리는 세계의 독립적 존재를 부정한다그에 따르면우리가 감각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는 세계를 인식할 수 없다고 한다그는 이를 바탕으로 세계에 관한 주장을 편다그에 의하면 주관적’ 성질인 색깔소 리냄새맛 등은 물론, ‘객관적으로 성립한다고 여겨지는 형태공간을 차지함딱딱함운동 등의 성질도 오로지 우리가 감각할 수 있을 때만 존재하는 주관적 속성이다세계 속의 대상과 현상이란 이런 속성으로 구성되므로 세계는 감각으로 인식될 때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버클리의 주장은 우리의 통념과 충돌한다당시 어떤 사람이 돌을 차면서 나는 이렇게 버클리를 반박한다!”라고 외쳤다고 한다그는 날아간 돌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점을 근거로 버클리의 주장을 반박하고자 한 것이다그러나 버클리를 비롯한 반실재론자들이 부정한 것은 세계가 정신과 독립하여 그 자체로 존재한다는 신념이다따라서 돌을 찬 사람은 그들을 제대로 반박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최근까지도 새로운 형태의 반실재론이 제기되어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논증의 성패를 떠나 반실재론자는 타성에 젖은 실재론적 세계관의 토대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또한 세계관에 대한 도전과 응전의 반복은 그 자체로 인간 지성이 상호 소통하면서 발전해 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