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행렬과 행렬식

행렬의 주대각합(Trace of Matrix)

by Gosamy 2022. 3. 8.
반응형

어떤 행렬에 대해 주대각합이 언제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고유값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처럼 주대각성분들의 합이 쓰일 때가 있는데 그 때 간편한 기호를 통해 나타내면 편리하기 때문에 따로 정의하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더욱이 주대각합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으로 행렬의 관계에서 성립하는 관계들을 만족합니다.


1. 주대각합

 

1) 정의

 

$A\in M_n(F)$ 의 '주대각합(trace)' 는 $A$의 모든 주대각성분의 합이며, $\mathrm{tr} A$ 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rm{tr} A=a_{11}+a_{22}+\cdots +a_{nn}=\sum_{i=1}^{n}a_{ii}$$

 

참고로 주대각합을 '흔적(trace)'으로 직역한 교과서들도 있습니다.

 

 

2) 성질

 

정리($L.A$) 3.6
$A,B\in M_n(F)$ 와 $\alpha \in 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① $\mathrm{tr}A^T=\mathrm{tr}A$
② $\mathrm{tr}(A+B)=\mathrm{tr}A+\mathrm{tr}B$
③ $\mathrm{tr}(\alpha A)=\alpha \,\mathrm{tr}A$
④ $\mathrm{tr}(AB)=\mathrm{tr}BA$

 

증명) ① 전치행렬은 주대각성분이 바뀌지 않으므로 정의에서 바로 성립한다.

②, ③ 상수배, 행렬의 덧셈을 하면 주대각성분에도 자연스레 똑같이 적용되므로 선형성을 가진다.

④ $$\begin{align*}
\mathrm{tr}(AB)&=\sum_{i}^{}(AB)_{ii}=\sum_{i}^{}\left( \sum_{k}^{}A_{ik}B_{ki} \right)
\\\\& =\sum_{k}^{}\sum_{i}^{}B_{ki}A_{ik}=\sum_{k}^{}(BA)_{kk}\\\\&=\mathrm{tr}{(BA)}
\end{align*}$$

 

정리($L.A$) 3.7

행렬의 주대각합은 순환성을 갖는다. 곧 순서대로 자리바꿈을 해도 그 값이 같다.

$$\mathrm{tr}\left( ABC \right)=\mathrm{tr}\left( BCA \right)=\mathrm{tr}\left( CAB \right)$$

 

증명)
$$\begin{align*} \mathrm{tr}(ABC)&=\sum_{i}^{}(ABC)_{iii}=\sum_{i}^{}\sum_{j}^{}\sum_{k}^{}A_{ij}B_{jk} C_{ki} \\\\& =\sum_{i}^{}\sum_{j}^{}\sum_{k}^{}B_{jk}C_{ki}A{_ij}=\mathrm{tr}(BCA) \\\\&= \sum_{i}^{}\sum_{j}^{}\sum_{k}^{}C_{ki}A{_ij}B_{jk}=\mathrm{tr}(CAB) \end{alig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