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행렬과 행렬식

행렬식의 다중 선형성(n-linearity, multi linearity of determinants)

by Gosamy 2020. 12. 10.
반응형

행렬식은 의외로 선형대수학의 중요한 주제이지만 선형성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선형성은 아니지만 선형과 유사한 성질을 가집니다. 이것은 저번 포스팅 도입부에서 짤막하게 이야기했었던 행렬식의 존재를 정의하는 3가지 특징 중 하나이기도 한데 오늘 그것을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1. 다중 선형성(n-linearity)

 

1) 행렬식과 선형성

 

행렬식이 선형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의 반례만으로도 보일 수 있습니다.

 

 

예제 1) 행렬 $A=\begin{pmatrix}
1 &2 \\ 
 3&4 
\end{pmatrix}\;\;,\;\;B=\begin{pmatrix}
3&5\\ 
 1&0 
\end{pmatrix}$ 에 대해 행렬식을 구하고 선형인지 확인해보아라.

 

 

행렬식의 값을 구하면 각각 $\mathrm{det}A=-2\;,\;\mathrm{det}B=-5$ 인데, 두 행렬의 덧셈의 행렬식은

 

$$A+B=\begin{pmatrix}
4 & 7\\ 
4 & 4
\end{pmatrix}\rightarrow \mathrm{det}(A+B)=-12\neq \mathrm{det}A+\mathrm{det}B$$

 

그리하여 행렬식은 선형함수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선형과 비스무레한 성질은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2),3)에 주목합시다.

 

 

2) 2차 정사각행렬

 

정리($L.A$) 3.1

2차 정사각행렬의 행렬식 $\mathrm{det} : M_2(F)\rightarrow F$는 행렬의 다른 행이 고정되어 있을 때, 각 행에 대하여 선형함수이다. 다시말해 $u,v,w\in F^2$과 $k\in F$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rm{det}\begin{pmatrix}u+kv\\   
w  
\end{pmatrix}=\mathrm{det}\begin{pmatrix}  
u\\   
w  
\end{pmatrix}+k\,\mathrm{det}\begin{pmatrix}  
v\\   
w  
\end{pmatrix}$$

 

증명) $u=(a_1,a_2), v=(b_1,b_2), w=(c_1,c_2) \in F^2$ 과 스칼라 $k$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mathrm{det}\begin{pmatrix}
u\\ 
w
\end{pmatrix}+k\,\mathrm{det}\begin{pmatrix}
v\\ 
w
\end{pmatrix}&=\mathrm{det}\begin{pmatrix}
a_1 &a_2 \\ 
c_1 & c_2
\end{pmatrix}+k\,\mathrm{det}\begin{pmatrix}
b_1 &b_2 \\ 
c_1 & c_2
\end{pmatrix}\\\\&=a_1c_2-a_2c_1+k(b_1c_2-b_2c_1)=(a_1+kb_1)c_2-(a_2+kb_2)c_1\\\\&=
\mathrm{det}\begin{pmatrix}
a_1+kb_1 & a_2+kb_2\\ 
c_1 &c_2 
\end{pmatrix}=\mathrm{det}\begin{pmatrix}
u+kv\\ 
w
\end{pmatrix}

\end{align*}$$

이 정리가 말해주는 것은 행렬식 자체는 선형함수가 아니지만, 2차 정사각행렬에서는 한 행을 고정했을 때 나머지 다른 행 안에 벡터와 스칼라의 덧셈이 선형성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즉 나머지 다른 행의 성분 속에 벡터 2개가 있다면 그 둘을 행렬식으로도 쪼갤 수 있다는 것이죠.

 

 

3) n차 정사각행렬

 

이러한 성질은 비단 $2\times 2$ 행렬 뿐만 아니라, 고차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에서도 성립합니다.

 

정리($L.A$) 3.2

$n$차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은 나머지 모든 행이 고정되어 있을 때 한 행은 선형성을 가진다. 즉 $1\leq r\leq n$인 $r$과 스칼라 $k\in F$, 행벡터 $a_i,u,v\in F^n$ 에 대하여 

$$\mathrm{det}\begin{bmatrix}
a_1\\ 
\vdots\\ 
a_{r-1}\\ 
u+kv\\ 
a_{r+1}\\ 
\vdots\\ 
a_n
\end{bmatrix}
=\mathrm{det}\begin{bmatrix}
a_1\\ 
\vdots\\ 
a_{r-1}\\ 
u+kv\\ 
a_{r+1}\\ 
\vdots\\ 
a_n
\end{bmatrix}
+k\,\mathrm{det}\begin{bmatrix}
a_1\\ 
\vdots\\ 
a_{r-1}\\ 
u+kv\\ 
a_{r+1}\\ 
\vdots\\ 
a_n
\end{bmatrix}$$

 

증명) $n=1$이면 $A$는 $1\times 1$ 행렬이므로 참이다.

$n\geq 2$일 때, 수학적 귀납법(Mathematical induction)을 이용해 증명하자.
임의의 $(n-1)\times (n-1)$ 행렬의 행렬식이 다른 행이 고정되어 있을 때 각 행에 대하여 선형함수라 가정한다. $n\times n$ 행렬 $A$의 각 행을 $a_1,a_2,\cdots ,a_n$이라 할 때 어떤 $r(1\leq r\leq n)$ 과 $u=(b_1,\cdots ,b_n)\in F^n$ 및 $v=(c_1,\cdots ,c_n)\in F^n$, 스칼라 $k$에 대하여 $a_r=u+kv$라 놓는다. $A$의 $r$행을 $u,v$로 바꾼 행렬을 각각 $B,C$라 할 때 $\mathrm{det}A=\mathrm{det}B+k\,\mathrm{det}C$ 를 보이자.

i) $r=1$ : $a_{11}=b_{11}+kc_{11}$ 가 성립해서 $\mathrm{det}A=\mathrm{det}B+k\,\mathrm{det}C $ 이다.

ii) $r\geq 2$ 이면, $1\leq j \leq n$ 에 대하여 $\tilde{A_{1j}},\tilde{B_{1j}},\tilde{C_{1j}}$ 는 $r-1$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행이 같다. (Minor 행렬이 되면, 되기 전의 $r$행이 $r-1$행이 된다.)

* 이 부분은 자세히 설명한다. 행렬 $A$는

$$A=\begin{bmatrix}
a_1 &\cdots  & a_{ij} & \cdots\;\\ 
\vdots &\cdots &    &\cdots\; \\ 
a_{r-1} & \cdots &   &\cdots\; \\ 
u+kv  &\cdots & R  &\cdots\; \\ 
a_{r+1} &\cdots &   &\cdots\; \\ 
\vdots & \cdots &   &\cdots\;\\ 
a_n &\cdots & & \cdots\;
\end{bmatrix}$$
이다. $R$은 $r$행을 말한다. 그런데 Minor를 만들면 1행 j열을 제거했기 때문에 위에서 $R$이 포함된 열(=j열)과 1행이 사라진다. 그러면 $r$행은 다음과 같이 $r-1$행이 된다.

$$\tilde{A_{ij}}=\begin{bmatrix}
X &X  & X & & X\;\\ 
\vdots &\cdots & X   &\cdots\; \\ 
a_{r-1} & \cdots &  X &\cdots\; \\ 
u+kv  &\cdots & X &\cdots\; \\ 
a_{r+1} &\cdots & X  &\cdots\; \\ 
\vdots & \cdots &  X &\cdots\;\\ 
a_n &\cdots & X& \cdots\;
\end{bmatrix}$$
여기서 $X$ 표시는 행렬의 성분이 $X$라는 것이 아니라 없어진 행과 열을 강조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

이 때 $\tilde{A_{ij}}$ 의 $r-1$행은

$$\begin{pmatrix} 
b_1+kc_1 & \cdots & b_{j-1}+k_{j-1} & b_{j+1}+kc_{j+1} & \cdots & b_n+kc_n 
\end{pmatrix}$$
이다. 즉 $\tilde{B_{ij}}$ 의 $r-1$ 행과 $\tilde{C_{ij}}$ 의 $r-1$ 행의 $k$배의 합과 같다. $\tilde{B_{ij}}$ 와 $\tilde{C_{ij}}$ 는 $(n-1)\times (n-1)$ 행렬이므로 수학적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mathrm{det}\tilde{A_{ij}}=\mathrm{det}\tilde{B_{ij}}+k\,\mathrm{det}\tilde{C_{ij}}$$
그리고 애초에 $B,C$가 $A$의 $r$행만 바꾼 행렬이니 $A_{1j}=B_{1j}=C_{1j}$ 이므로

$$\begin{align*}
\mathrm{det}A&=\sum_{j=i}^{n}(-1)^{1+j}A_{1j}\cdot \mathrm{det}(\tilde{A_{ij}})\\\\
&=\sum_{j=i}^{n}(-1)^{1+j}A_{1j}\cdot \left \{ \mathrm{det}(\tilde{B_{ij}})+k\,\mathrm{det}(\tilde{C_{ij}}) \right \}
\\\\&=\sum_{j=i}^{n}(-1)^{1+j}A_{1j}\cdot \mathrm{det}(\tilde{B_{ij}})
+\sum_{j=i}^{n}(-1)^{1+j}A_{1j}\cdot k\,\mathrm{det}(\tilde{C_{ij}})
\\\\&=\mathrm{det}B+k\,\mathrm{det}C
\end{align*}$$
즉 $n\times n$에 대한 행렬식의 다중 선형성이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이 명제는 참이다.

 

솔직히 증명은 복잡하고, 행렬을 제가 중간에 그렸던 것처럼 손으로 직접 써가면서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그래도 제가 친절히 설명해서 써놨기 때문에 전공서적에 비해서는 원활하게 읽어내려갈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보통 증명을 하는 일은 번거롭고 많은 사고력을 요하지만 행렬식의 다중 선형성은 앞으로의 행렬식의 특징들을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널리 쓰이니, 한 번 정도는 집중해서 시도해보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문헌]

Linear Algebra : S.Friedberg, A.Insel, L.Spence, 5e, PEARSO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