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까지 합동에 관한 뼈대가 되는 개념들을 모두 다루었습니다. 이번 글부터는 본격적으로 대수학을 하기 위해 $\mathbb{Z}_n$ 과 $\mathbb{Z}_n^*$ 을 다루는 과정에서 필요한 동치류들의 연산에 대해 정리할 것입니다. 이미 배웠던 내용, 특히 합동의 연산 성질을 바탕으로 약간만 확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보면, 합동식 $ax\equiv b \;(\text{mod}\; n)$ 와 같은 식에서 사실 해는 무수히 많아 동치류들로 적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mathbb{Z}$ 를 $\mathbb{Z}_n$ 으로 줄여서 생각하더라도 그러한 합동의 개념 본질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실 합동의 연산 관계들은 자연스럽게 동치류에서도 성립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사실 이번 글에서 적는 내용들은 이미 우리가 다 배웠던 합동식에서의 연산, 합동방정식의 해를 다루는 법에 포함된 내용인 셈입니다.
1. 합동에서 동치류들의 연산
서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오늘 다루는 내용은 거의 동어반복에 가까우며 확장성을 의미하는 것임을 매순간 기억하고 읽어야 합니다.
1) 기본 덧셈과 곱셈 : 바 연결하기
정리($N.T$) 3.13)
법 $n\in\mathbb{N}$ 에 대한 정수집합의 두 원소 $\overline{a},\overline{b}\in\mathbb{Z}_n$ 을 생각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① $\overline{a}+\overline{b}=\overline{a+b}$
② $\overline{a}\overline{b}=\overline{ab}$
증명) ① $\overline{a}:=\{ x\in\mathbb{Z}\mid x\equiv a \;(\text{mod}\; n) \}$ 이고 $\overline{b}:=\{ y\in\mathbb{Z}\mid y\equiv b \;(\text{mod}\; n) \}$ 로 정의된다. 그러면 $p,q\in\mathbb{Z}$ 에 대하여 $x=pn+ a$ 이고 $y=pn+b$ 가 된다. 변변끼리 더하게 되면
$$\overline{a}+\overline{b}=\{ x+y\in\mathbb{Z}\mid x\in\overline{a}\;,\;y\in\overline{b} \}\;\;\;\;\;\cdots \;\;\;(1)$$
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분석해보면 $x+y=(a+b)+(p+q)n$ 의 꼴이기 때문에 이는 결국 $(x+y)\equiv (a+b) \;(\text{mod}\; n)$ 가 되며, 따라서
$$\overline{a+b}=\left\{ z\in\mathbb{Z}\mid z\equiv (a+b)\;(\text{mod}\; n) \right\}$$
가 된다, 그러면 $(1)$ 에서 $x+y=z$ 이므로 증명이 끝난다.
② 정의에 의하여 $\overline{a}\overline{b}=\left\{ xy\in\mathbb{Z}\mid x\in\overline{a}\;,\;y\in\overline{b}\right\}$ 이다. $xy=(a+pn)(b+qn)=ab+(aq+pb+pqn)n$ 이므로 $xy\equiv ab \;(\text{mod}\; n)$ 이 성립한다. 그러면
$$\overline{ab}=\{ z\in\mathbb{Z} \mid z\equiv ab \;(\text{mod}\; n)\}$$
이므로 $z=xy$ 에서 증명이 끝난다. $_\blacksquare$
2) 동치류에 대해 성립하는 법칙들
아래 정리의 증명은 방법을 써두었지만 난이도는 매우 쉬운데 노가다의 느낌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부 다 자세히 증명하진 않았지만 방법을 잘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의($N.T$) 3-9) 음의 동치류
$\overline{a}$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음의 동치류는 $\overline{-a}:=-\overline{a}$ 로 정의한다.
정리($N.T$) 3.14)
법 $n\in\mathbb{N}$ 이 $n\geq 2$ 로 주어지고, 임의의 $a,b,c\in\mathbb{Z}$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mathbb{Z}_n$ 의 원소들 동치류 사이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① 덧셈과 곱셈의 교환법칙 : $\overline{a}+\overline{b}=\overline{b}+\overline{a}$ 이고, $\overline{a}\overline{b}=\overline{b}\overline{a}$
② 덧셈과 곱셈의 결합법칙 : $\overline{a}+(\overline{b}+\overline{c})=(\overline{a}+\overline{b})+\overline{c}$ 이고, $\overline{a}(\overline{b}\overline{c})=(\overline{a}\overline{b})\overline{c}$
③ 덧셈과 곱셈에 대한 항등원 : $\overline{a}+\overline{0}=\overline{a}$ 와 $\overline{a}\overline{1}=\overline{a}$
④ 역원 : $\overline{a}+\overline{-a}=\overline{0}$
⑤ 분배법칙 : $\overline{a}(\overline{b}+\overline{c})=\overline{a}\overline{b}+\overline{a}\overline{c}$
증명) 합동의 연산성질과 정수의 성질, 그리고 동치류의 정의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첫 두개만 자세히 증명해 보겠다.
① $\overline{a+b}=\left\{ z\in\mathbb{Z}\mid z\equiv (a+b)\;(\text{mod}\; n) \right\}$ 이다. 그런데 정수는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z\equiv (a+b) \;(\text{mod}\; n)$ 는 $z\equiv (b+a) \;(\text{mod}\; n)$ 인 것과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overline{a+b}=\overline{b+a}$ 이다. 비슷하게 $\overline{a}\overline{b}=\left\{ xy\in\mathbb{Z}\mid x\in\overline{a}\;,\;y\in\overline{b}\right\}$ 인데 $xy=yx$ 이므로 $\overline{a}\overline{b}=\overline{b}\overline{a}$ 가 성립한다.
② $\overline{a}+(\overline{b}+\overline{c})=\overline{a}+(\overline{b+c})=\overline{a+(b+c)}$ 이고,
$(\overline{a}+\overline{b})+\overline{c}=\overline{a+b}+\overline{c}=\overline{(a+b)+c}$ 이다. 그런데 동치류의 정의 부분을 볼 때 정수는 덧셈에 대한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이 둘은 같다. 정수의 곱셈도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비슷하게 증명하면 된다.
③ 동치류의 정의와 합동의 연산성질을 사용한다.
④ 동치류의 정의, 합동의 연산성질, 음의 동치류 정의를 사용한다.
⑤ 정리($N.T$) 3.13) 의 두 조건을 모두 사용하고, 정수의 분배법칙을 사용한 다음, 다시 정리($N.T$) 3.13) 의 두 조건을 순서대로 쓴다. $_\blacksquare$
예제 1) $\mathbb{Z}_{35}$ 에서 $\overline{16}x=\overline{9}$ 의 해를 찾을 수 있는가? 즉 $\overline{16}$ 의 역원이 존재하는지 검토하여라.
Sol) 합동방정식의 해가 존재할 조건은 여기서 $\gcd(16,35)=1$ 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1이므로 이 합동방정식은 유일한 해를 가지며 $\overline{16}^{-1}$ 또한 존재한다. 이를 찾기 위해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해보자.
$$35=16\cdot 2+3$$
$$16=3\cdot 5+1$$
$$3=1\cdot 3+0$$
따라서 $\gcd(35,16)=\gcd(16,5)=1$ 이며, 역원을 찾기 위해서는 $\overline{16}y\equiv 1 \;(\text{mod}\; 35)$ 를 만족하는 $y$ 를 찾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어떤 $m\in\mathbb{Z}$ 에 대하여 $16=35m+1$ 꼴의 식을 만들어야 하므로, 유클리드 호제법의 결과로부터 $1=16-3\cdot 5$ 이고 $3=35-16\cdot 2$ 이므로
$$1=16-3\cdot 5 = 16-(35-16\cdot 2)\cdot 5=16\cdot 11-35\cdot 5$$
를 얻고, 정리하면 $16\cdot 11=(35\cdot 5)+1$ 이다. 따라서 $\overline{16}\cdot\overline{11}\equiv \overline{1} \;(\text{mod}\; 35)$ 이므로 $\overline{16}^{-1}=\overline{11}$ 이다.
이제 주어진 합동방정식의 해를 찾아보자. 양변에 $\overline{11}$ 을 곱해주면
$$x=\overline{11}\cdot \overline{9}=\overline{99}$$
를 얻는다. 따라서 해는 $\overline{99}$ 이지만 이것을 $\mathbb{Z}_{35}$ 의 원소로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숫자의 크기를 $35$ 미만으로 줄여아 한다. 그러면 $99\equiv 29 \;(\text{mod}\; 35)$ 이므로 정확한 답은 $x=\overline{29}\in\mathbb{Z}_{35}$ 라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동치류의 표현을 위해 숫자 위해 바(bar)를 사용했으나 일반 선형합동식에서 해를 찾았던 방법처럼 굳이 바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식으로 작성해도 문제가 전혀 없다. 왜냐하면 애초에 선형합동식의 해 자체가 동치류 꼴이기 때문이다. 단, 이 문제에서와 같이 만일 $\mathbb{Z}_n$ 에서의 계산이라고 하면 답을 낼 때 해를 $0\leq x < 35$ 가 되도록 숫자를 조정해야한다는 차이는 존재한다. $_\blacksquare$
여기까지 학습을 완료하면 이미 이해되어야 하는 점이긴 하지만 마지막으로 서술을 해봅시다. $\mathbb{Z}$ 와 $\mathbb{Z}_n$ 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 $\mathbb{Z}$ 는 정수집합입니다. 이는 무한집합이고, 이것의 원소들은 단순히 정수 즉 숫자입니다.
2) $\mathbb{Z}_n$ 은 $n-1$ 개의 동치류로 이루어진 집합입니다. 따라서 유한집합입니다. 이것들의 원소는 동치류이니 결국 집합입니다. 그러면 정수와의 관계는? 바로 임의의 $z\in\mathbb{Z}$ 는, 반드시 어떤 $\overline{a}\in\mathbb{Z}_n$ 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 둘의 관계는 몫군을 다루게 되면서 조금 더 선명해지게 됩니다. 이제 대수학의 시간으로 다시 돌아가 봅시다.
[참고문헌]
Introduction to Abstract Algebra, 4e, W.Keith Nicholson
'정수론(Number Theory) > 합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동방정식(congruence equation) (0) | 2024.06.27 |
---|---|
합동의 연산성질(Operations on congruence in the Number Theory) (1) | 2024.06.24 |
정수론에서의 법 $n$ 에 대한 잉여류(residue class in the Number theory) (1) | 2024.01.29 |
정수론에서 합동(Congruence) (1) | 2024.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