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분류/변분법

변분법에서의 오일러 방정식 (Euler Equation in the Calculus of Variation)

by Gosamy 2021. 1. 11.
반응형

오일러 방정식은 저번 글에서 설명했던 범함수의 극값을 찾는 변분법에 관한 방정식입니다. 고로 오일러 방정식을 풀면 범함수의 극값을 건져낼 수 있습니다.

 

정리($C.D$) 3.2

변분 $J(y)=\displaystyle\int_{x_{1}}^{x_{2}}f\left \{ y(x),y'(x);x \right \}dx$ 가 극값을 가져 정상적(Stationaty)이 되도록 할 조건 $\left [ \displaystyle\frac{\partial J(\alpha)}{\partial \alpha} \right ]_{\alpha=0}=0$ 은 곧 다음의 '오일러 방정식(Euler Equation)' 을 만족하는 것이다.
$$\frac{\partial f}{\partial y}-\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0$$

 


1. 오일러 방정식의 증명

변분 식의 양변을 $\alpha$ 에 대하여 미분하면

 

$$\frac{\partial J(\alpha)}{\partial \alpha}=\frac{\partial }{\partial \alpha}\int_{x_1}^{x_2}f
\left \{ y(\alpha ,x),y'(\alpha,x);x \right \}dx=\int_{x_1}^{x_2}\left ( \frac{\partial f}{\partial y}
\frac{\partial y}{\partial \alpha}+\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 y'}{\partial \alpha} \right )dx$$

 

이고, $y$값을 쓸 때 $\alpha , \eta$ 를 사용하여 $y(\alpha,x)=y(0,x)+\alpha\eta(x)$ 라고 했었기 때문에, 

 

$$\frac{\partial y}{\partial \alpha}=\eta(x)\;,\;\frac{\partial y'}{\partial \alpha}=\frac{d\eta}{dx}$$

 

가 성립합니다. 이것을 원래 식에 대입하면,

 

$$\frac{\partial J(\alpha)}{\partial \alpha}=\int_{x_1}^{x_2}\left ( \frac{\partial f}{\partial y}
\frac{\partial y}{\partial \alpha}+\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 y'}{\partial \alpha} \right )dx
=\int_{x_1}^{x_2}\left ( \frac{\partial f}{\partial y}\eta(x)+\frac{\partial f}{\partial y'}\frac{d\eta}{dx} \right )dx$$

 

여기서 피적분함수 내의 두번째 항만 먼져 보겠습니다. 부분적분을 해서 간단히 만들 것입니다.

 

$$\begin{align*} 
&\eta(x_1)=\eta(x_2)=0 
\\\\& \rightarrow \;\; \int_{x_1}^{x_2}\left ( \frac{\partial f}{\partial y'}\frac{d\eta}{dx} \right )
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eta(x) \right ]_{x_1}^{x_2}-\int_{x_1}^{x_2}\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eta(x)dx\\\\&
=-\int_{x_1}^{x_2}\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eta(x)dx
\end{align*}$$

 

그러므로 첫째항과 합치면,

 

$$\frac{\partial J(\alpha)}{\partial \alpha}=
\int_{x_1}^{x_2}\left \{ \frac{\partial f}{\partial y}+\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 \right \}dx=0$$

 

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런데, 처음 $y(\alpha,x)=y(0,x)+\alpha\eta(x)$ 의 식을 만들 때 $\eta(x)$ 는 어떤 임의의 함수라고 했습니다. 여기다가 상수 $\alpha$ 를 곱해서, 원래 극값의 경로에 대하여 변형된 경로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었죠.

그런데 우리가 지금 처리해야 할 적분은 임의의 $\eta(x)$ 에 대하여 정적분의 값이 항상 0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eta(x)$ 를 제외한 파란색 피적분함수 부분이 언제나 0이 되어야 위 식이 만족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정적분의 값이 0이 나오려면 피적분함수가 반드시 0이 되어야 한다는 말과 동일한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합니다)

이 결과는 $J(y)$ 가 극값을 가지기 위한 조건으로, '오일러 방정식(Euler Equation)' 이라 하며 변분법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frac{\partial f}{\partial y}-\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0$$


2. 종속변수가 여러개인 함수에 관한 오일러 방정식

 

종속변수가 여러개라 함은, 범함수 $f$가

 

$$f=f\left \{ y_1(x),y'_1(x),y_2(x),y'_2(x),\cdots ;x \right \}$$

 

꼴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Index 를 사용해서 일반적인 표현법으로 나타내면

 

$$f=f\left \{ y_i(x),y'_i(x),y_2(x)\cdots ;x \right \}\;\;\;(i=1,2,\cdots ,n)$$

 

$\alpha$ 를 이용한 표현에 있어서도 첨자 $i$ 를 달아주어야 하고,

 

$$y_i(\alpha,x)=y_i(0,x)+\alpha\eta(x) \;\;\;(i=1,2,\cdots ,n)$$

 

그랬을 때 변분 $J$가 극값을 가질 조건은 오일러 방정식이 모든 $y_i$ 에 대해 성립해야 하므로 종속변수가 여러개일 때의 오일러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rac{\partial f}{\partial y_i}-\frac{d}{dx}\left ( \frac{\partial f}{\partial y_i'} \right )=0 \;\;\;(i=1,2,\cdots ,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