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LEET 독서/인문학

동일론과 이원론 [2022학년도 예비 수능/인문학]

by Gosamy 2021. 11. 26.
반응형

[그림 1] 구글 딥마인드 매치에서의 알파고(흑)과 이세돌 九단(백)의 4국 기보. 알파고의 전적 중 유일한 1패가 바로 이 대국이다. 데카르트는 언어나 수학적 추론은 인간이 가진 독립적인 정신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고도의 사고 및 인지과정이라 주장하였으나,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은 데카르트의 주장을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위협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계가 바로 알파고이고 이 매치가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분기점이 되었다는것이 중론이다.

 

  인간은 이 세상에서 정신과 물질을 동시에 지닌 유일한 존재 로 여겨진다. 정신은 과연 물질, 곧 육체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일까? 컴퓨터와 같은 완전히 물리적인 체계는 정신을 가질 수 없는가? 오래전부터 정신을 비물리적 대상으로 간주하는 사람이 많았고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게 육체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학적 조성을 띠지만 정신은 비물리적 대상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이 이원론이다. 이에 견줘 동일론은 정신은 육체, 그중에서 두뇌의 물리적 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존재하지, 육체와 독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무엇인가가 독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모든 가능성을 들여다보며 “여기도 없군. 저기도 없네.” 하며 철저히 점검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것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주장들을 조목조목 반박해 나가면 된다. 그런 식으로 동일론은 이원론을 반박한다.

 

  원자나 엑스선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그것을 가정함으로써 다양한 현상들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이원론자는 정신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것을 가정해야만 설명할 수 있는 특성들이 있다고 주장한다라이프니츠는 만일 X와 Y가 동일 하다면 이들이 똑같은 특성을 갖는다는 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를 제시했는데어떠한 물리적 대상도 갖지 못할 특성을 정신이 갖는다면이 원리에 따라 정신은 물리적 대상과는 다를 것이다.

 

  대표적 이원론자인 데카르트는 그런 특성으로 언어와 수학적 추론을 제시한다그는 완전히 물리적인 체계가 사람처럼 언어를 사용하거나 수학적인 추론을 해낼 수는 없으리라고 보았다그러나 이런 주장은 그 힘이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약하다먼저 컴퓨터 언어라는 개념은 이제 상식적인 것이 되었다컴퓨터 언어는 인간이 쓰는 언어에 비해서 구조와 내용의 면에서 단순하지만 그 차이라 하는 것은 종류의 차이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이다한편 데카르트의 저술이 나타난 이래로 수세기 동안 여러 학자들은 수학적 추론의 일반적 원리들을 이럭저럭 찾아낼 수 있게 되었고컴퓨터 기술자들은 그런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데카르트를 깜짝 놀라게 했을 법한 기계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독립적인 정신을 가정하지 않고서도 언어와 수학적 추론을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이와 같이 더 복잡한 것을 끌어들이지 않고 무언가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면그것을 끌어들이지 말라는 단순성의 원리에 의해 독립적인 정신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

 

  데카르트는 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로 이원론을 지지하는 또 다른 논증으로육체의 존재는 얼마든지 의심할 수 있지만 정신은 의심할 수 없다는 것을 든다의심하기 위해서는 내 정신이 또렷하게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육체와 정신 중 하나는 의심 가능하다는 특성을 갖지만 다른 하나는 갖지 않으므로 그 둘은 동일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온다이 논증을 평가하기 위해 사실은 같은 사람인 정약용과 다산을 생각 해 보자. 「목민심서」를 정약용이 썼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더라도 다산이 썼다는 것은 얼마든지 의심할 수 있다다산이 썼어도 쓰지 않았다고 의심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그렇다고 해서 정약용과 다산이 동일한 존재가 아닌 것은 아니다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는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특성이 의심이나 생각 같은 것을 포함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