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합론(Set Theory)/기수론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으로 실수가 비가부번집합임을 보이기(Real number is nondenumerable by using Cantor's diagonal method)

by Gosamy 2023. 11. 25.
반응형

 

 

칸토어의 대각법은 수학에서 몇가지 중요한 정리들을 증명하는데 사용됩니다. 매우 참신한 아이디어라 이를 어떻게 떠올렸을지 참 신기한 생각이 많이 듭니다. 오늘은 칸토어의 대각법을 이용해서 실수 집합이 무한집합이며 가부번집합이 아님을 증명할 것입니다. 결과를 먼저 설명하면 여태까지 자연수, 정수, 유리수가 가부번집합임을 보였는데, 실수는 비가부번 즉 비가산집합이고, 무리수 집합 역시 그러합니다.

 

공교롭게도 이 수학 개념이 2024년 수능특강 독서의 과학/기술 2번째 지문으로 수록되어 있습니다. 수학적으로 증명을 하는 과정은 고등학생에게 대단한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가 고등학생 수준으로 약간 눈높이를 낮추어 영상을 만든 것이 있습니다. 이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실수는 비가산집합이다.

 

정리($S.T$) 4.16)
실수 $\mathbb{R}$ 의 부분집합 $(0,1)$ 은 무한집합이고, 비가부번집합(따라서 비가산집합)이다.

증명) $x\in (0,1)$ 에 속하는 모든 수 $x$ 를 $x=0.x_1x_2x_3\cdots$ 의 형태로 전개한다. 여기서 각각의 $n\in\mathbb{N}$ 에 대하여 $x_n\in \left\{ 0,1,2,\cdots ,9 \right\}$ 가 된다.

그런데 유한소수나 순환소수는 분수 표현로 나타낼 수 있는데,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숫자도 무한소수로 표현하려고 한다. 이때 $0.999... =1 $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0.5=0.4999.....$ 라 표기하는 것이다.

그러면 임의의 $x,y\in (0,1)$ 에 대하여 $x=0.x_1x_2x_3\cdots \;,\; y=0.y_1y_2y_3\cdots$ 로 표현할 때, 모든 첨자 $k\in\mathbb{N}$ 에 대하여 $x_k=y_k$ 이어야만 두 수가 같다. 고로 임의의 소수점 아래 $k$ 번째 자리에서 $x_k\neq y_k$ 가 성립하면(단 하나의 $k$ 에 대해서 성립하기만 해도) 두 수는 같지 않아, $x\neq y$ 인 셈이다.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명제를 증명하자. 귀류법을 사용하기 위해 $(0,1)$ 이 가부번집합이라 가정해보자. 그러면 일대일대응인 함수 $f:\mathbb{N}\sim (0,1)$ 이 존재하여 $(0,1)$ 의 원소를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고 생각해보자.

$$\begin{align*}
f(1)&=0.a_{11}a_{12}a_{13}\cdots \\
f(2)&=0.a_{21}a_{22}a_{23}\cdots \\
f(3)&=0.a_{31}a_{32}a_{33}\cdots \\
&\;\;\;\;\;\;\;\vdots \\
f(k)&=0.a_{k1}a_{k2}a_{k3}\cdots \\
\end{align*}$$
이때 각 $a_{ij}$ 에 대하여 $a_{ij}\in \left\{ 0,1,2,\cdots ,9 \right\}$ 이 성립한다. 이제 위에 나열된 모든 $f(k)$ 들 중에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수 $z\in (0,1)$ 가 존재함을 통해 모순을 일으키려고 한다. $z=0.z_1z_2z_3\cdots $ 의 각 $z_k$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z_k= \left\{ \begin{array}{cl}
5 &  (a_{kk}\neq 5) \\
1 &  (a_{kk}=5)
\end{array} \right.$$
이렇게 $z_k$ 를 정의하면,[각주:1] 모든 $k\in\mathbb{N}$ 에 대해 $z_k\neq a_{kk}$ 가 된다. 왜냐하면 위의 정의에 따라 $a_{kk}$ 와 항상 같지 않게 $z_k$ 를 정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z\neq f(1)$, $z\neq f(2)$, $z\neq f(3)$, $\cdots \;\; z\neq f(k)$ 가 되면서 $z\notin f(\mathbb{N})=(0,1)$ 이 성립한다. 고로 이것은 $z\in (0,1)$ 에 대해 모순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_\blacksquare$

 

 

이 증명법을 칸토어의 대각법이라고 부릅니다. 각각의 $f(k)$ 에 존재하는 $a_{kk}$ 소숫점의 숫자들과 다른 숫자들로 $z$ 를 구성하여 모순을 이끌어내기 때문입니다.

 

 

 

따름정리($S.T$) 4.16.1) 
실수 집합 $\mathbb{R}$ 은 무한집합이고, 비가부번집합, 곧 비가산집합이다.

따름정리($S.T$) 4.16.2) 
무리수 집합도 무한집합이고, 비가부번집합, 곧 비가산집합이다.

첫 번째 따름정리의 증명) 예제 1)과 예제 2), 그리고 동치관계의 추이성을 고려하면 $(0,1)\sim \mathbb{R}$ 이다. 따라서 $\mathbb{R}$ 은 비가산집합이다. $_\blacksquare$

두 번째 따름정리의 증명) 무리수 집합은 $\mathbb{R}-\mathbb{Q}$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이 가부번집합이라고 가정하자. $\mathbb{Q}$ 은 가부번집합이므로, 정리($S.T$) 4.11) 에 의하여 합집합 $(\mathbb{R}-\mathbb{Q})\cup \mathbb{Q} = \mathbb{R}$ 또한 가부번집합이다. 이는 $\mathbb{R}$ 이 비가산집합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_\blacksquare$

 

 

 

 

[참고문헌]

You-Feng Lin, Shwu-Yeng T,Lin - Set thoery

 

 

 

  1. 그래서 이 정의에서 5나 1이라는 숫자가 굳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냥 임의의 두 수를 선택하면 됩니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