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물리학/전기회로

평행판 축전기의 여러가지 특징

by Gosamy 2021. 1. 25.
반응형

가장 대표적으로 문제에 등장하는 축전기는 평행판 축전기인데, 평행판 축전기의 공식은 간단하여 고등학교 물리에서부터 자주 등장하며 일반물리학 연습문제에도 많습니다. 평행판 축전기의 특징들을 자세히 분석해서 나올 수 있는 여러 유형을 살펴봅시다.


1. 평행판 축전기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varepsilon_0 \frac{A}{d}$$

 

$A$는 극판의 면적, $d$는 두 극판 사이의 거리입니다.


2. 전기용량의 변화

 

1) 유전체 삽입의 효과

 

전기용량을 늘리는 가장 인기있는 방법은 두 도체 극판 사이에 유전체(Directrics)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그림 1] 유전체를 넣었을 때 약화된 전기장

 

원리는 위 [그림 1]의 (a)에서처럼 어떤 외부 전기장이 축전기에 가해져 있는 상황을 먼저 고려합시다. 이로 인해 축전기에는 전하량 $Q$만큼의 전하가 충전되었다고 하고, 기존 전기장의 세기는 $\mathbf{E}_0$ 라 해보죠. 여기서 가운데에 유전체를 넣으면 유도전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 유도전하는 당연히 기존 전기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기장을 만들고 그것을 $\mathbf{E}$ 라 한다면, 알짜 전기장은 $\mathbf{E}_{\mathrm{net}}=\mathbf{E}_0-\mathbf{E}$ 가 됩니다. 그렇다면 충전된 전하량은 그대로인데 전기장의 세기가 감소하였으므로 $V=Ed$ 에서 $V$ 또한 줄어든 것이라, $Q=CV$ 로부터 전기용량 $C$는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을 '유전상수(directric constant)'라고 합니다.

 

$$\kappa =\frac{\varepsilon}{\varepsilon_0}$$

 

이 유전상수는 '카파(kappa)'라 읽는 그리스 문자 $\kappa$ 를 사용하거나 엡실론에 첨자를 달아 $\varepsilon_r$ 로 나타냅니다. 그러면 평행판 축전기 공식에서 앞에 붙어있던 진공의 유전율 대신 이제 삽입한 유전체의 유전율이 들어가게 되므로, 변화된 평행판 축전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F.P$) 1.6

유전율이 $\varepsilon$ 인 유전체를 평행판 축전기에 삽입하면,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C\,'=\kappa \,\varepsilon_0\frac{A}{d}=\varepsilon\frac{A}{d}$$

 

 

 

2) 직렬로 삽입

 

축전기 안에 유전체를 넣는 방법도 직렬로 넣는 것인지, 병렬로 넣는 것인지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림 2] (좌측)과 [그림 3] (우측)

 

[그림 2]와 같이 유전체가 판 사이에 평행판과 나란하게 삽입된 경우, 두 유전체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행판 축전기의 변화된 공식인 위 정리($F.P$) 1.6 을 참조해서 공식을 이끌어 내 봅시다.

 

$$C_1=\varepsilon_1\frac{A}{d/2}=2\kappa_1C\;\;,\;\;C_2=\varepsilon_2\frac{A}{d/2}=2\kappa_2C\\\\
\therefore \;\; C\,'=\frac{C_1C_2}{C_1+C_2}=\frac{2\kappa_1\kappa_2}{\kappa_1+\kappa_2}\,C$$

 

 

3) 병렬로 삽입

 

반면 [그림 3]처럼 평행판과 수직된 방향으로 유전체를 넣어주게 되면 평행판의 절반은 유전체 1, 나머지 절반은 유전체 2 이렇게 이어진 것으로 두 유전체가 병렬연결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진공이었을 때는 축전기가 하나였지만 저렇게 반반씩 유전체를 넣어주게 되면 축전기가 사실상 절반으로 쪼개진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러면 병렬연결 시 전기용량의 합성식을 사용해 변화된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구해야 합니다.

 

[그림 4]

 

$$\varepsilon_1=\kappa_1\varepsilon_0\;\;,\;\;\varepsilon_2=\kappa_2\varepsilon_0 \;\;\rightarrow\;\;
C_1=\varepsilon_1\frac{A/2}{d}=\frac{1}{2}\kappa_1C\;\;,\;\;C_2=\varepsilon_2\frac{A/2}{d}=\frac{1}{2}\kappa_2C\\\\
\therefore \;\; C\,'=C_1+C_2=\frac{1}{2}C\left ( \kappa_1+\kappa_2 \right )$$


3. 스위치 문제

 

유전체를 넣는 방법을 포함하여 극판의 면적이나 극판 사이 거리 등을 조절하면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업은 축전기를 전지에 연결해 둔 상태에서 시행하는데 아니면 축전기를 전지에서 떼어낸 뒤 시행하는지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실제 물리학2 기출문제들이라던지 일반물리학 연습문제들을 보시면 '스위치'를 닫았는지, 열었는지를 주고 축전기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의 크기, 전하량, 그리고 퍼텐셜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많이 물어보는 문제들이 포진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한 내용을 한번에 정리해 봅시다.

 

 

1) 평행판 축전기의 극판 사이 거리를 $d$에서 $d'$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아래와 같이 Case 분류를 합니다. 여기서 스위치를 열었다는 것은 충전을 다 마치고 나서 열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전지와 연결이 끊겼으니, 전기용량이 바뀔 시 전압은 바뀌게 되지만 저장되어 있는 전하량은 보존되어야 하므로 전하량은 똑같습니다. 반면 스위치를 닫고 작업을 진행하면 계속해서 전지와 연결되어 있으니 전지의 전압이 유지되는 겁니다.

 

① 스위치를 연 상태에서 극판 사이 거리를 증가시킬 때 (전하량 $Q$ 일정)

전기용량 : $C=\varepsilon_0\displaystyle\frac{A}{d'}$ 으로 감소
전위차 : $Q=CV$ 일정에서 $C$가 감소하고 $Q$가 일정하니 전위차는 증가
전기장 : $E=Q/\varepsilon_0 A$ 에서 일정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U=\displaystyle\frac{1}{2}QV$ 는 증가

 

② 스위치를 닫은 상태에서 극판 사이 거리를 증가시킬 때 (전압 $V$가 일정)
전기용량 : $C=\varepsilon_0\displaystyle\frac{A}{d'}$ 으로 감소
전하량 : $Q=CV$ 에서 $V$ 일정 $C$ 감소하니 전하량도 감소
전기장 : $E'=\displaystyle\frac{V}{d'}$ 에서 감소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U=\displaystyle\frac{1}{2}QV$ 는 감소

 

 

2) 유전체를 삽입하는 경우

 

유전체를 넣었을 때 축전기의 전기용량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위에서 다루었지만, 여기서는 스위치까지 함께 고려해 보도록 합시다. 전반적인 접근법은 1)에서와 동일합니다.

 

① 충전 후 스위치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유전체를 삽입 (전하량 $Q$가 일정)
전기용량 : $\varepsilon_0 \;\;\rightarrow \;\;\kappa\varepsilon_0=\varepsilon$ 으로 증가
전위차 : $Q=CV$ 에서 $C$는 증가, $Q$가 일정하니 $V$는 감소
전기장 : $E=\frac{V}{d}$ 에서 $d$는 일정한데 전위차가 감소하였으니 전기장도 감소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U=\frac{1}{2}QV$ 에서 $V$가 감소하니 에너지도 감소

 

② 스위치를 계속 닫아놓은 채로 유전체를 삽입 (전압 $V$가 일정)
전기용량 : $\varepsilon_0 \;\;\rightarrow \;\;\kappa\varepsilon_0=\varepsilon$ 으로 증가
전하량 : $Q=CV$ 에서 전하량도 증가
전기장 : $V=Ed$ 에서 일정하다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U=\frac{1}{2}QV$ 에서 $V$ 일정, $Q$ 증가하므로 에너지도 증가한다.

 

 

 

[참고문헌]

Halliday, David, Resnick, Robert, Walker, Jearl - Fundamental of Physics, 10th, WILE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