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역학(Statistical mechanics)/운송과 열 확산

열확산 방정식(Thermal diffusion equation)

by Gosamy 2022. 6. 8.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열확산 방정식에 대해 알아보자. 전자기학에서 배웠던 구면 좌표계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의 풀이법에 대한 지식이 조금 필요하다. (필요한 내용들은 중간 중간 링크를 달아 두었다.)


1. 열확산 방정식

 

1) 유도 및 개념

 

 

어떤 닫힌 부피 $\mathcal{V}$ 안에 있는 열이 그 부피를 둘러싼 닫힌 표면 $\mathcal{S}$ 에서 흘러나오는 상황을 생각하자.열 선속(thermal flux) $\mathbf{J}$ 가 단위 시간동안 단위 면적을 흐르는 열에너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닫힌 표면 전체에서 흘러나오는 열의 흐름은

 

$$\int_{\mathcal{S}}^{}\mathbf{J}\cdot d\mathbf{a}\;\;\;\;\;\cdots \;\;\;(1)$$

 

으로 주어진다. 이 적분은 선속에 면적을 곱한 것으로 차원은 단위 시간당 일의 양인 일률($J/s$)과 동일하다. 적분의 의미를 고려하면, 이 양은 닫힌 표면 안쪽에 있는 물질이 외부로 에너지를 잃어버리는 손실율과 동일하다. 곧, 닫힌 표면을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부피에서의 총 열에너지 변화율로 생각할 수 있다.

 

열에너지는 기본적인 관계 $Q=cm\Delta T$ 로부터, 다음 적분으로 쓸 수 있다.

 

$$Q=\int_{\mathcal{V}}^{}CT\,d\tau$$

 

$d\tau$ 는 부피에 대한 적분임을 의미하고, $C$는 단위 부피당 열용량으로 단위는 ($J/Km^3$) 이다. 그렇다면 위의 적분 $(1)$ 이 시간에 따라 부피 내의 열에너지 변화량과 같기 때문에,

 

$$\frac{\partial Q}{\partial t}=-\frac{\partial }{\partial t}\int_{\mathcal{V}}^{}CT\,d\tau=
\int_{\mathcal{S}}^{}\mathbf{J}\cdot d\mathbf{a}\;\;\;\;\;\cdots \;\;\;(2)$$

 

발산 정리를 사용하면,

 

$$\int_{\mathcal{S}}^{}\mathbf{J}\cdot d\mathbf{a}=\int_{\mathcal{V}}^{}\nabla \cdot \mathbf{J}\,d\tau\;\;\;\;\;\cdots \;\;\;(3)$$

 

$(2),(3)$ 을 조합하면

 

$$\nabla \cdot \mathbf{J}=-C\frac{\partial T}{\partial t}\;\;\;\;\;\cdots \;\;\;(8)$$[각주:1]

 

를 얻는다. 이제 열확산 방정식을 정의할 수 있다.

 

열확산 방정식(Thermal diffusion equation)은 다음과 같다.
$$\frac{\partial T}{\partial t}=D\nabla^2T$$ 여기서 $D=\displaystyle\frac{\kappa}{C}$ 는 '열확산도(thermal diffusivity)'라 부르며, 단위는 $m^2/s$ 이다.

 

 

2) 1차원 열확산 방정식

 

열확산 방정식은 그러므로 라플라스 방정식(Laplace equation)이다. 그러나 1차원의 경우는 파동방정식과 비슷한 꼴을 가지게 된다.[각주:2]

 

$$\frac{\partial T}{\partial t}=D\frac{\partial^2T }{\partial x^2}\;\;\;\;\;\cdots \;\;\;(\mathrm{1-dim\;
thermal\; diffusion\; equation})\;\;\;\cdots \;\;\;(4)$$

 

$$\frac{\partial^2 y(x,y)}{\partial x^2}=\frac{1}{v^2}\frac{\partial^2y(x,t) }{\partial t^2}\;\;\;\;\;\cdots \;\;\;(\mathrm{wave \; equation})\;\;\;\cdots \;\;\;(5)$$

 

파동 방정식의 해는 지수함수로 적을 수 있어서, 열확산 방정식의 해를 파동 형태라 생각해보자.

 

$$T(x,y)\propto e^{i(kx-\omega t)} $$

 

$k$는 파수(wave number), $\omega$ 는 각진동수, $\lambda$ 는 파장, $f$는 진동수이다.[각주:3] 이 식을 $(4)$ 에 대입하면

 

$$i\omega = -Dk^2 \;\; \Rightarrow \;\; k^2=\frac{i\omega}{D}$$

 

$$k=\pm (1+i)\sqrt{\frac{\omega}{2D}}=\sqrt{\frac{i\omega}{D}},-\sqrt{\frac{i\omega}{D}}$$

 

파동은 공간 부분과 시간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공간 부분, 즉 $x$에 관한 항을 보면 이는 $e^{ikx}$ 에 해당하는데. 만일 $k$의 값으로 $\displaystyle\sqrt{\frac{i\omega}{D}}$ 을 택하면,

 

$$e^{\displaystyle\left\{ (i-1)\sqrt{\frac{\omega}{2D}}\,x \right\}}\;\;\;\;\;\cdots \;\;\;(6)$$

 

이 되지만 이 것은 $x\rightarrow -\infty$ 에서 발산한다. 반면 $k$의 값으로 $-\displaystyle\sqrt{\frac{i\omega}{D}}$ 을 택한다면

 

$$e^{\displaystyle\left\{ (-i+1)\sqrt{\frac{\omega}{2D}}\,x \right\}}\;\;\;\;\;\cdots \;\;\;(7)$$

 

을 얻지만 이 역시도 $x\rightarrow \infty$ 에서 발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경계조건이 필요하고, $x>0$ 이나 $x<0$ 영역을 골라야 한다. 만일 $x>0$ 을 골랐다고 하고 $x=0$에서 적절한 경계조건이 주어진다고 하자. 그러면 $x\rightarrow \infty$ 에서 발산하지 않는 식 $(6)$ 을 고를 수 있고, 선형결합으로 최종 해를 쓰면

 

$$T(x,t)=\sum_{\omega}^{}A(\omega)e^{-i\omega t}e^{\displaystyle\left\{ (i-1)\sqrt{\frac{\omega}{2D}}\,x \right\}}$$

 

으로 해를 쓰면 된다. 계수 $A$는 물론 $x=0$ 에서 주어지는 경계조건으로 정할 수 있다.


2. 정상상태(Steady state)

 

어떤 계가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도달했다는 것은 시간에 따라 특정 물리량이 계속 바뀌지 않고 유지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온도의 정상상태에 주목한다. 그러면

 

$$\frac{\partial T}{\partial t}=0$$

 

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를 열확산 방정식에 대입하면

 

$$\nabla^2 T=0$$

 

을 얻는다. 우리에게 익숙한 라플라스 방정식(Laplace equation)이다. 그렇다면, 곧 3차원에서 이를 풀 것이고 해의 모양은 좌표계에 따라 다르지만 변수분리법을 통해 접근하면 된다.


3. 공에 대한 열확산 방정식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s)에서 열확산 방정식을 풀어보자. 물리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이 방정식은 전자기학1, 양자역학1, 수리물리학(보통 2)에서 한 번쯤 공부해보았을 것이다.[각주:4]구면 좌표계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은

 

$$\nabla ^2 T=\frac{1}{r^2}\frac{\partial }{\partial r}\left( r^2\frac{\partial T}{\partial r} \right)
+\frac{1}{r^2\sin \theta}\frac{\partial }{\partial \theta}\left( \sin \theta \frac{\partial T}{\partial \theta} \right)+\frac{1}{r^2\sin^2 \theta}\frac{\partial ^2T}{\partial \phi^2}=0$$

 

$T$가 극각이나 방위각에 대한 함수가 아닌 경우, 즉 $T$가 극각과 방위각에 독립(independent) 인 경우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간단한 상황을 고려하면

 

$$\nabla^2 T=\frac{1}{r^2}\frac{\partial }{\partial r}\left( r^2\frac{\partial T}{\partial r} \right)$$

 

로 단순화 시킬 수 있다. 그러면 확산 방정식은 간단하게

 

$$\frac{\partial T}{\partial t}=\left( \frac{\kappa}{C} \right)\frac{1}{r^2}\frac{\partial }{\partial r}\left( r^2\frac{\partial T}{\partial r} \right)$$

 

으로 귀결된다.

 

일반적인 정상상태에 있는 3차원 공의 열확산 방정식을 해결해보자.

 

sol) $$\nabla^2 T=\frac{1}{r^2}\frac{\partial }{\partial r}\left( r^2\frac{\partial T}{\partial r} \right)=0$$

 

에서 시작한다. 우선 괄호 안의 양이 상수가 되어야 $r$에 대해 미분했을 때 0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left( r^2\frac{\partial T}{\partial r} \right)=C$$

 

이 되어야 하고, 이는 $T$ 가

 

$$T=\frac{B}{r}+A$$

 

로 주어짐을 뜻한다. $A,B$값은 경계조건으로 구할 수 있고, $A$는 적분상수이니 상수지만 $B$는 보통 $B=B(r,t)$ 인 함수이다.


4. 열의 원천(Source of Heat)

 

처음에 제시된 특정 부피 $\mathcal{V}$ 에서 단위 부피당 열이 $H$의 비율로 생성된다고 하자. 그러면 이 비율이 식 $(8)$ 에 더해지기 때문에 식 $(8)$ 을 다음과 같이 바꿔준다.

 

$$\nabla \cdot \mathbf{J}=-C\frac{\partial T}{\partial t}+H$$

 

$$\nabla \cdot \mathbf{J}=\nabla\cdot(-\kappa\nabla T)=-\kappa\nabla^2 T= -C\frac{\partial T}{\partial t}+H$$

 

이를 정리하면,

 

$$\nabla^2 T=\frac{C}{\kappa}\frac{\partial T}{\partial t}-\frac{H}{\kappa}$$

 

이며, $D=\displaystyle\frac{\kappa}{C}$ 을 이용하면 다음 결과를 얻는다.

 

열의 원천을 고려하면, 단위 부피당 열 생성 비율 $H$를 생각했을 때 열확산 방정식은
$$\frac{\partial T}{\partial t}=D\nabla^2 T+\frac{H}{C}$$

 

 

 

  1. 식 8번인 것이 맞습니다. 순서를 지키지 못한 점은 너그럽게 봐줍시다. [본문으로]
  2. 비슷하다고 하긴 했지만, 파동 방정식은 사실 양변이 모두 2계 편미분이고 1차원 열확산 방정식은 한 변만 2계 편미분이다. 그렇지만 파동은 일반물리학 - 정확히는 전자기학에서 지수함수꼴을 배운다 -  에서 지수함수로 적을 수 있는데, 양변이 각각 서로 다른 문자 t,x에 대해 미분된 것이고 지수함수는 2번을 미분하든 1번을 미분하든 상수 차이밖에 없기 때문에, 열확산 방정식의 해를 파동 형태로 잡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본문으로]
  3. 사실 만일 이것을 모르면 일반물리학의 파동 단원에서 복습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문으로]
  4.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면 이 곳을 참고하여라.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