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합론(Set Theory)/기수론

기수의 덧셈과 곱셈(Addition and product of cardinal number)

by Gosamy 2023. 11. 27.
반응형

 

 

이제 기수끼리의 덧셈과 곱셈을 해보려고 합니다. 무한집합의 기수를 연산할 때는 실수의 덧셈과 곱셈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의 키워드는 '서로소'입니다.


1. 기수의 덧셈

 

정의($S.T$) 4-7) 기수의 덧셈(Addition of cardinality)
$a,b$ 를 기수라 하자. 이때 두 기수의 합을 $a+b:=\left| A\cup B \right|$ 로 정의하고, 여기서 두 집합 $A,B$ 는 서로소이며 각각의 기수는 $\left| A \right|=a\;,\;\left| B \right|=b$ 이다.

 

그러니까 기수의 덧셈을 하려면 더하기 전 두 집합이 서로소여야 합니다. 주어진 두 기수 $a,b$ 에 대하여 이를 기수로 갖는 서로소인 두 집합을 반드시 택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요? 답은 그렇다인데, 이를 아래 보조정리에서 증명합니다.

 

보조정리($S.T$) 4.2)
$a,b$ 를 기수라 하자. 그러면
① $\left| A \right|=a\;,\;\left| B \right|=b$ 를 만족하는 서로소인 두 집합 $A,B$ 가 존재한다.
② 네 집합 $A,B,A',B'$ 에 대하여 $\left| A\right|=\left|  A' \right|$ 이고 $\left|  B \right|=\left|  B' \right|$ 이고 $A\cap B=\phi =A'\cap B'$ 가 성립하면, $\left| A\cup B\right|=\left|  A'\cup B' \right|$ 이 성립한다.

증명) ① 기수의 공리 A1) 에 의하여, $\left| A \right|=a\;,\;\left| B \right|=b$ 를 만족하는 두 집합 $A,B$ 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 두 집합이 서로소이면 증명이 끝난다. 서로소가 아니라면, $ A\times \left\{ 0 \right\}$ 와 $B\times \left\{ 1 \right\}$ 를 택한다. 그러면, $A\sim \left( A\times \left\{ 0 \right\} \right)\;,\;B\sim \left( B\times \left\{ 1 \right\} \right)$ 이고 이때 $\left( A\times \left\{ 0 \right\} \right) \cap  \left( B\times \left\{ 1 \right\} \right)=\phi$ 이다. 즉 기수가 각각 $a,b$ 인 두 서로소인 집합으로 $\left( A\times \left\{ 0 \right\} \right)\;,\;  \left( B\times \left\{ 1 \right\} \right)$ 을 반드시 택할 수 있다.

따름정리($S.T$) 4.8.1) 로부터 유도된다. $_\blacksquare$

 

 

우리가 이미 아는 수 체계에서의 연산이 아닐 때, 다른 어떤 대상에 대해 연산을 부여할 때는 그 연산이 잘 정의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서로소 조건이 굉장히 중요한데, 서로소가 아닌 상황을 한 번 고려해봅시다. 매우 쉽습니다.


예제 1) 두 집합이 서로소가 아닐 때 위의 정의를 이용하여 기수의 덧셈을 잘 정의할 수 있는가?

 

Sol) $A=\left\{ 1,2 \right\}$ 이고 $A=\left\{ 1,2,3 \right\}$ 라 하자. 그러면 $A,B$ 는 서로소가 아니고 $A\cup B=\left\{ 1,2,3 \right\}$ 이다. 따라서 $a=2,b=3$ 이므로 $a+b=5$ 이지만 $\left| A\cup B \right|=3\neq 5$ 이므로 기수의 덧셈이 잘 정의되지 않는다. $_\blacksquare$


 

정의($S.T$) 4-8) 알레프 널과 컨티넘(Aleph null and continuum)
자연수 집합의 기수와 실수 집합의 기수는 다음과 같이 특별한 기호를 도입해서 표현한다. 이 두 기호를 각각 '알레프 널(aleph null)'과 '컨티넘(continuum)'이라고 읽는다.[각주:1]
① $\left| \mathbb{N}\right|=\aleph_0$
② $\left| \mathbb{R}\right|=\mathfrak{c}$

정리($S.T$) 4.19) 기수의 교환 및 결합법칙
임의의 세 기후 $a,b,c$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① 교환법칙 : $a+b=b+a$
② 결합법칙 : $(a+b)+c=a+(b+c)$

증명) 서로소인 두 집합의 $A,B$ 의 기수를 각각 $a,b$ 라 하자. 두 집합이 서로소이므로 $A\cup B=B\cup A$ 이므로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비슷하게 서로소인 세 집합 $A,B,C$ 의 기수를 각각 $a,b,c$ 라 하면 세 집합이 모두 서로소이므로 $(A\cup B)\cup C = A\cup (B\cup C)$ 이므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_\blacksquare$

 

 

 

기수의 덧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드시 더하는 두 집합이 서로소라는 사실입니다. 이를 꼭 명심해야 합니다.

 

정리($S.T$) 4.20) 기수의 합에 관한 등식들
① $\aleph_0+\aleph_0=\aleph_0$
② $n+\aleph_0=\aleph_0$
③ $\aleph_0 + \mathfrak{c}=\mathfrak{c}$
④ $\mathfrak{c} + \mathfrak{c}=\mathfrak{c}$

증명) 

① $$\begin{align*} \aleph_0+\aleph_0&=\left| \mathbb{N} \right|+\left| \mathbb{N} \right|\\\\& = \left| \mathbb{N}_e \right|+\left| \mathbb{N}_o \right|\\\\& = \left| \mathbb{N}_e\cup \mathbb{N}_o \right|\\\\& =\left| \mathbb{N} \right| \\\\& =\aleph_0 \;\;\;\;\;_\blacksquare \end{align*}$$

② 기수가 $n$ 인 집합 $A=\left\{ 1,2,\cdots n \right\}$ 을 생각하자. 그러면 

$$\begin{align*} n+\aleph_0&=n+\left| \mathbb{N} \right|=\left| A \right|+\left| \mathbb{N} \right| \\\\& =\left| A \right|+\left| \mathbb{N}-N_k \right| \\\\&=\left| \left\{ 1,2,\cdots n \right\}\cup \left\{ n+1,n+2,\cdots \right\} \right| \\\\&=\left| \mathbb{N} \right| \\\\&=\aleph_0 \end{align*}$$
여기서 $\left| \mathbb{N}-N_k \right|=\left| \mathbb{N} \right|$ 임을 사용했다. 그 까닭은, $\mathbb{N}\sim \left( \mathbb{N}-N_k \right)$ 이기 때문인데, 함수 $f:\mathbb{N}\rightarrow \left( \mathbb{N}-N_k \right)$ 를 $n\mapsto n+k$ 로 정의하면 이는 일대일대응이기 때문이다. $_\blacksquare$


③ $$\begin{align*} \aleph_0+\mathfrak{c}&=\left| \mathbb{N} \right|+\left| \mathbb{R} \right|\\\\& = \left| \mathbb{N} \right|+\left| (0,1)\right|\\\\& =\left| \mathbb{N}\cup \left( 0,1 \right) \right| \\\\& =\left| \mathbb{R} \right| \\\\& =\mathfrak{c} \end{align*}$$
여기서 $\left| \mathbb{N}\cup \left( 0,1 \right) \right|=\left| \mathbb{R} \right|$ 가 성립하는 까닭은 칸토어-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에 의한 것으로서, $\mathbb{R}$ 의 부분집합인 $\left| \mathbb{N}\cup \left( 0,1 \right) \right|$ 이 $\left| \mathbb{N}\cup \left( 0,1 \right) \right|$ 과 대등하고, 반대로 $\left| \mathbb{N}\cup \left( 0,1 \right) \right|$ 의 부분집합인 $(0,1)$ 이 $\mathbb{R}$ 과 대등하기 때문이다. $_\blacksquare$


④ 함수 $f:(-1,1)\rightarrow \mathbb{R}$ 을 $f(x)=\tan\left( \displaystyle \frac{\pi x}{2} \right)$ 로 잡자. 자명히 $f$ 는 전단사이고, (왜?) 따라서

$$\begin{align*} \mathfrak{c}+\mathfrak{c}&=\left| \mathbb{R} \right|+\left| \mathbb{R} \right| \\\\& =\left| (-1,0)\right|+\left| (0,1) \right| \\\\&=\left| (-1,0)\cup[0,1) \right| \\\\&=\left| (-1,1) \right| \\\\&=\left| \mathbb{R} \right| \\\\&=\mathfrak{c}\;\;\;\;\; _\blacksquare \end{align*}$$[각주:2]

 

 


2. 기수의 곱셈

 

정의($S.T$) 4-9) 기수의 곱셈
두 기수 $a,b$ 에 대하여 기수의 곱은 $ab$ 로 표기하고, $ab:=\left| A\times B \right|$ 으로 정의하며, 여기서 $\left| A \right|=a\;,\;\left| B \right|=b$ 이다.

 

합에서와 비슷하게, 두 기수의 곱을 하필 두 집합의 데카르트 곱의 기수로 정하는 것에 대해 잘 정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제 2) 기수의 곱은 잘 정의되는가?

 

sol) $a=\left| A \right|=\left| A' \right|$ 이고 $b=\left| B \right|=\left|B' \right|$ 라 하자. 두 함수 $f,g$ 를 각각 $f:A\sim A'$ 과 $g: B\sim B'$ 으로 정의하게 되면, $f\times g : A\times B \rightarrow A'\times B'$ 은 $(x,y)\mapsto (f(x),g(x))$ 으로 정의되고 정리($S.T$) 4.9) 에 의하여 이는 전단사함수이다. 그러므로 $\left| A\times B \right|=\left| A'\times B' \right|$ 가 성립하여, 잘 정의된다. $_\blacksquare$

 

 

정리($S.T$) 4.21)
① $\aleph_0\aleph_0=\aleph_0$
② $\mathfrak{c}\cdot \mathfrak{c} = \mathfrak{c}$

증명)
① $$\begin{align*} \aleph_0\aleph_0&=\left| \mathbb{N} \right|\times \left| \mathbb{N} \right|\\\\& =\left| \mathbb{N}\times \mathbb{N} \right|\\\\& =\left| \mathbb{N} \right| \\\\& =\aleph_0 \end{align*}$$ 여기서 $\left| \mathbb{N}\times \mathbb{N} \right|=\left| \mathbb{N} \right| $ 은 정리($S.T$) 4.13) 에 의한 것이다. $_\blacksquare$

② $$\begin{align*} \mathfrak{c}\cdot\mathfrak{c}&=\left| \mathbb{R} \right|\left| \mathbb{R} \right| \\\\&= \left| \left( \mathbb{R}\times \mathbb{R}\right) \right| \\\\&= \left| \mathbb{R} \right|\;\;\;\;\;\;\;\;\;\;\;\;\;\;\;\;\;\;\;\;\cdots \;\;\;\;\;(1) \\\\&= \mathfrak{c} \end{align*}$$
여기서 $(1)$ 이 성립함을 보이기 위해 $(\mathbb{R}\times \mathbb{R})\sim \mathbb{R}$ 임을 보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mathbb{R}\sim (0,1)$ 이므로, $\left( (0,1)\times (0,1) \right) \sim (0,1)$ 을 대신 보이자. 이것이 가능한 까닭은 정리($S.T$) 4.9) 때문이다.

i) $(0,1) \sim \left( (0,1)\times \left\{ 0.5 \right\} \right) \subseteq \left( (0,1)\times (0,1) \right)$ 가 되고,

ii) $\left( (0,1)\times (0,1) \right) \sim S\subseteq (0,1)$ 이 성립함을 보이고 싶다. 여기서 $S$ 는 $(0,1)$ 의 한 부분집합이다. 단사함수 $f:(0,1)\times (0,1)\rightarrow (0,1)$ 을 생각하면, 만일 $f$ 와 같이 단사함수를 만들 수 있기에 $\left( (0,1)\times (0,1) \right) \sim f\left( (0,1)\times (0,1) \right)\subseteq (0,1)$ 가 성립하고, 결국 i), ii) 에 의하여 각각이 서로의 부분집합과 대등하므로 $\left( (0,1)\times (0,1) \right) \sim (0,1)$ 임이 증명된다.

그러므로 단사함수 $f$ 를 잘 정의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f$ 의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를 $(x,y)$ 라 하면 칸토어의 대각법에서 했던 것처럼 $(x,y)\in (0,1)$ 인 $x,y$ 를 무한소수로 표기해보면

$$x=0.x_1x_2x_3\cdots$$ $$y=0.y_1y_2y_3\cdots$$
이때 간단히 $f((x,y))=0.x_1y_1x_2y_2x_3y_3\cdots$ 로 정의하게 된다면

$$\begin{align*} f((x,y))=f((x',y'))\;\;&\Rightarrow 0.x_1y_1x_2y_2x_3y_3\cdots=0.x'_1y'_1x'_2y'_2x'_3y'_3\cdots \\\\&\Rightarrow x_1=x_1'\;\;,\;\;y_1=y_1'\;\;,\;\;x_2=x_2'\;\;,\;\;y_2=y_2'\;\;\cdots \\\\&\Rightarrow x=x'\;\;,\;\;y=y' \\\\&\Rightarrow (x,y)=(x',y') \end{align*}$$
이므로 $f$ 는 명백히 단사이다. $_\blacksquare$

 

 

 

정리($S.T$) 4.22) 기수의 곱에 대한 교환, 결합, 분배법칙의 성
임의의 세 기수 $a,b,c$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① 교환법칙 : $ab=ba$
② 결합법칙 : $(ab)c=a(bc)$
③ 분배법칙 : $a(b+c)=ab+bc$

증명) 기수의 곱이 같을 필요충분조건은 두 집합의 데카르트 곱이 같은 것이 아니라, 대등한 것임을 떠올려보자. $\left| A \right|=a\,,\,\left| B \right|=b\,,\,\left| C \right|=c$ 라 하고 기수 곱의 정의를 생각하자. 그러면 데카르트 곱은 교환성이 없어 $A\times B\neq B\times A$ 임은 분명하지만, $A\times B\sim B\times A$ 이기 때문에 $ab=ba$ 가 된다. 또한 $\left| \left(  A\times B \right)\times C \right|\sim \left| A\times \left( B\times C \right) \right|$ 가 성립하므로 결합법칙 역시 성립하고, 분배법칙 역시 같은 원리로 성립한다. $_\blacksquare$

 

 

 

 

[참고문헌]

You-Feng Lin, Shwu-Yeng T,Lin - Set thoery

 

 

 

  1. 알레프 널은 히브러이 자모의 첫째 글자이고, continum 은 연속체를 뜻합니다. 이러한 기호는 칸토어가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문으로]
  2. 여기서 합집합을 할 때, 으레 그랬던 것처럼 구간을 (0,1)으로 잡으면 $x=0$ 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0,1)$ 과 같이 반열린 구간으로 잡는 것입니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