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 설명하는 함수는 중고교 수준과 이를 넘어 대학교 미적분학 수준에서의 함수의 정의입니다.
이 글의 내용과 함수의 정의 수준 또한 논리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만일 독자분이 다소 어렵더라도 엄밀한 정의를 알아보길 원하거나, 본격적으로 수학과에서 학습하는 집합론, 그리고 그 이상의 고난도 과목에서 다루는 엄밀한 함수의 정의를 알아보고 싶다면 이곳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함수의 정의
두 집합 X,Y에 대하여 X의 각 원소 x에 Y의 유일한 원소 f(x)를 대응시키는 규칙을 X에서 Y로 가는 '함수(function)' 또는 '사상(mapping)'이라 하고, f:X→Y 로 표기한다.
이 때 X와 Y를 각각 f의 '정의역(domain)', '공역(codomain)'이라 하고 집합 {f(x)∣x∈X} 는 '치역(range)'이라 한다.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이다. 추가로 f(x)는 f에 의한 x의 상(image), x는 f에 의한 f(x)의 원상(preimage)라 한다.

2. 정의역, 치역, 공역의 관계에 의한 함수의 분류
'전사(全射, surjective)'는 f의 공역과 치역이 일치하는 함수이다. '위(上)로의 함수(onto)' 라고도 한다.
'단사(單射, injective)'는 임의의 x1,x2∈X 에 대해 f(x1)=f(x2)⇒x1=x2 인 함수 f를 말한다. '일대일 함수(one-to-one function)'이라고도 한다.
'전단사(全單射, bijective)'는 전사이고 단사인 함수이며 '일대일 대응(one-to-one correspondence)'이라고도 한다.
전사, 단사, 전단사는 영어보다 한국어 용어가 더 의미를 잘 표현하는 드문 용어에 속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둔 한자의 뜻을 알면 바로 함수의 특징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전사는, 전부(全) 쏜다(射)는 뜻으로 정의역의 모든 원소가 공역의 모든 원소에 대응되는 함수를 뜻합니다. 그래서 치역과 공역이 같은 함수입니다.
단사는, 하나의 x값이 단 하나의(單) y값에 대응, 쏴진다(射)는 뜻입니다.
전단사는 전사(全射)이고 단사(單射)임을 뜻합니다. 역함수의 존재 조건과도 같습니다.
'집합론(Set Theory) > 관계와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엄밀한 정의(Definition of function in Set theory) (1) | 2023.12.15 |
---|---|
동치관계와 동치류(Equivalence relation, equivalence class) (1) | 2023.10.15 |
두 집합의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of two sets) (0) | 2023.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