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에서는 서로소라는 개념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서로소인 순환들에 대해서 성립하는 규칙들이 있습니다. 이를 소개하고 몇가지 증명을 해보려 합니다. 여기서 서로소는 정수론에서 두 소수가 서로소(relatively prime)라는 의미보다는 집합론에서의 두 집합의 서로소(mutally disjoint)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1. 서로소(Mutually disjoint)
1) 정의
정의(A.AA.A) 1-6) 순환의 서로소
Sn의 두 순환 σ=(a1a2⋯ak),τ=(b1b2⋯br) 가 서로 공통된 성분을 갖지 않아 {a1,⋯,ak}∩{b1,⋯,br}=∅ 이면 σ,τ 는 '서로소(Mutally disjoint)'라 한다.
두 순환에 있어서 순환에 참가하는 원소들이 중복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S6의 순환 (2,4)와 (3651) 은 서로소이지만, (213) 과 (3142)는 서로소가 아닙니다.
2) 서로소와 교환법칙
정리(A.A) 1.2) 두 순환이 서로소이면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Sn의 두 순환 σ,τ가 서로소이면 στ=τσ 이다.
증명) Sn의 두 순환을 σ=(a1a2⋯ak),τ=(b1b2⋯br) 라 하고 서로소라 가정하자. 즉 {a1,⋯,ak}∩{b1,⋯,br}=∅ 이다. 그러면 모든 x∈{1,⋯,n} 에 대해 (στ)(x)=(τσ)(x) 를 보이면 된다. 이 때 x는 반드시 다음 세가지 경우 중 하나에 속한다.
i) x∈{a1,⋯,ak} 이 경우 x=ai(1≤i≤k) 라 하자. 그러면 σ(ai)=aj(i≠j⇒ai≠aj) 이고, 이 aj는 τ에선 aj→aj 이므로(서로소니까) τ(x)=x가 성립한다. 그러므로 (στ)(x)=σ(τ(x))=σ(x)=τ(σ(x))=(τσ)(x)
ii) x∈{b1,⋯,bk} i)과 비슷하게, x∈{b1,⋯,bk} 이면 τ(x)={b1,⋯,br},σ(x)=x가 되어 (στ)(x)=σ(τ(x))=σ(τ(x))=τ(σ(x))=(τσ)(x) iii) x∉{a1,⋯,ak,b1,⋯,br} σ(x)=x=τ(x) 이므로 (στ)(x)=(τσ)(x) 가 바로 성립한다. ◼
서로소인 순환들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한다는 뜻입니다. 예제 하나로 이것이 성립하는지 한번만이라도 확인을 하고 넘어가 봅시다.
예제 1)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σ=(243),τ=(1243)
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하는지 살펴보아라.
sol)
στ=(243)(1243)=(1423)
반면에,
τσ=(12342413)(12341423)=(12342341)=(2341)
그러므로 στ≠τσ 입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함수의 합성은 순서가 중요하여 일반적으로 (f∘g)=f(g(x))≠(g∘f)=g(f(x)) 가 성립하기 때문에, 치환에서도 교환법칙이 꼭 성립하라는 보장은 없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증명을 해봅시다.
증명) Sn의 두 순환을 σ=(a1a2⋯ak),τ=(b1b2⋯br) 라 하고 서로소라 가정하자. 즉 {a1,⋯,ak}∩{b1,⋯,br}=∅ 이다. 그러면 모든 x∈{1,⋯,n} 에 대해
(στ)(x)=(τσ)(x)
를 보이면 된다. 이 때 x는 반드시 다음 세가지 경우 중 하나에 속한다.
i) x∈{a1,⋯,ak}
이 경우 x=ai(1≤i≤k) 라 하자. 그러면 σ(ai)=aj(i≠j⇒ai≠aj) 이고, 이 aj는 τ에선 aj→aj 이므로(서로소니까) τ(x)=x가 성립한다. 그러므로 (στ)(x)=σ(τ(x))=σ(x)=τ(σ(x))=(τσ)(x)
ii) x∈{b1,⋯,bk}
i)과 비슷하게, x∈{b1,⋯,bk} 이면 τ(x)={b1,⋯,br},σ(x)=x가 되어 (στ)(x)=σ(τ(x))=σ(τ(x))=τ(σ(x))=(τσ)(x)
iii) x∉{a1,⋯,ak,b1,⋯,br}
σ(x)=x=τ(x) 이므로 (στ)(x)=(τσ)(x) 가 바로 성립한다. ◼
정리(A.A) 1.3)
Sn에서 모든 치환 σ는 서로소인 순환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증명) σ가 항등치환이면 증명할 것이 없으니 항등치환이 아니라고 하자. 그러면 {1,⋯,n} 에서 σ(x)≠x인 첫 원소 a1이 존재하는데, σ(a1)=a2 라 두자. (단, a1≠a2) σ가 전단사함수이기 때문에 {1,⋯,n} 의 서로 다른 a1,a2,⋯ak 가 존재하여 σ(a1)=a2,σ(a2)=a3,⋯,σ(ak)=a1 을 만족한다. 여기서 σ1=(a1a2⋯ak) 라 두면, 이에 포함되지 않는 비순환원소 x∉{a1,a2⋯an} 에 대하여 σ(x)=x 이면 σ=σ1 이므로 이 순환이 유일해 더 이상 증명할 것이 없다.
σ≠σ1 이면 {1,⋯,n}−{a1,⋯,ak} 에서 σ(x)≠x 인 첫 원소를 b1이라 하고,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1,⋯,n}−{a1,⋯,ak} 에 서로 다른 b1,⋯,bk 가 존재하여 두번째 순환 σ2=(b1b2⋯br) 을 얻는다. 물론 이 때 두 순환은 {a1,a2,⋯,ak}∩{b1,b2,⋯,bk}=∅ 으로 서로소이다.
이후에도 {1,⋯,n} 는 유한집합이므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서로소인 순환 σ1,σ2,⋯,σt 가 존재하여
σ=σ1σ2⋯σt ◼
증명의 원리는 순환을 하나씩 발견한다는 개념에 착안합니다. 첫 순환을 돌았을 때 비순환원소가 자기 자신으로 가지 않는다면 또 다른 순환을 찾는 것이지요. 이러한 방식을 반복하여 순환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선형대수학, 청문각, 강경태 및 송석준 지음
'대수학(Abstract Algebra) > 순열, 치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호함수와 치환(Signum function with Permutation) (0) | 2020.12.08 |
---|---|
대수학에서 호환과 짝치환, 홀치환 (Transposition and even, odd permutation in Algebra) (2) | 2020.12.08 |
대칭군(The symmetric group) (0) | 2020.12.06 |
대수학에서 치환과 순환(Permutation and cycle in Algebra) (2) | 2020.12.03 |
연산과 군, 환, 체의 간단한 개념 (Basic concept of Binary operation, Group, Ring, and Field) (1) | 2020.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