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석학(Analysis)/배경, 기초

유리수의 조밀성(Density of Rationals)

by Gosamy 2024. 3. 9.
반응형

 

유리수의 조밀성은 여러 수학 과목의 수많은 정리나 성질을 밝히는 과정에서 상당히 빈번하게 등장합니다. 물론 증명을 매순간 하지는 않고, 성질을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유리수의 조밀성

 

정리($R.A$) 1.6) 유리수의 조밀성(Density of rationals)
임의의 $a<b$ 인 두 실수 $a,b\in\mathbb{R}$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a< q< b$ 를 만족하는 $q\in\mathbb{Q}$ 가 반드시 존재한다.

증명) 1) $a>0$ 라 하자. 아르키메데스 성질 ③에 의하여 $\displaystyle \frac{1}{n} < a\in\mathbb{R}$ 을 만족하는 $n\in\mathbb{N}$ 이 존재하고, 똑같이 $b-a >0$ 에 대해서도 $\displaystyle \frac{1}{n} < b-a$ 를 만족하도록 자연수 $n$ 을 잡을 수 있다. 그래서 $n > \max \left\{ \displaystyle \frac{1}{a},\displaystyle \frac{1}{b-a} \right\}$ 이 되도록 자연수 $n$ 을 잡는다.

이제 집합 $E=\left\{ k\in\mathbb{N}\middle |\frac{k}{n}\leq a \right\}$ 를 생각하자. 위의 아르키메데스 정리의 적용으로부터 $k=1\in E$ 는 분명하므로 $E\neq \emptyset$ 이다. 그러면 $k\leq na$ 에서 $E$ 는 상계 $na$ 에 대하여 위로 유계이다. $E\subset \mathbb{Z}$ 이므로 정리($R.A$) 1.4)에 의하여 $k_0=\sup E$ 인 $k_0$ 가 $E$(그리고 물론 $\mathbb{N}$ 에도)에 속한다.

이제 $m=k_0+1$ 이라 하고 서로소인 두 정수 $m,n$ 에 대하여 $q=\displaystyle\frac{m}{n}=\displaystyle\frac{k_0+1}{n}$ 이라고 하자. $k_0=\sup E$ 이므로 $m\notin E$ 에서, $k_0=na$ 인 $na$ 에 대하여

$$q=\frac{m}{n}=\frac{k_0+1}{n}>\frac{k_0}{n}=a$$
즉 $q > a$ 이다. 한편, $k_0\in E$ 이므로 

$$b=a+(b-a)=\frac{k_0}{n}+(b-a) > \frac{k_0}{n}+\frac{1}{n}>\frac{k_0+1}{n}=\frac{m}{n}=q$$
에서 $b>q$ 이다. 결론적으로 $a<q<b$ 인 유리수 $q$ 가 존재한다.

2) $a\leq 0$ : 아르키메데스 성질 ①을 쓰면 $a\in\mathbb{R}$ 이므로 $k> -a$ 를 만족하는 $k\in\mathbb{N}$ 이 존재한다. 그러면 $0 < k+a < k+b$ 가 되고, 1)에 의하여 $k+a < r < k+b$ 를 만족하는 유리수 $r$ 을 잡을 수 있다. 따라서 $q=r-k$ 라 하면 $q\in\mathbb{Q}$ 가 되므로 $a<q<b$ 가 성립한다. $_\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