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급수의 수렴 판정을 하기에 앞서 수열의 극한의 수렴 여부에 관한 유용한 정리가 하나 있습니다.
원래 수열의 극한 수렴은 그 수열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존재하는 편입니다. 예컨대 등비수열은 공비가 -1보다 크고 1보다 같거나 작으면 바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또, 샌드위치 정리라 부리는 조임정리를 이용해서 몇가지 수열의 수렴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엡실론-델타 논법으로 정의된 수열의 수렴 정의 공식을 써도 될 때가 있지요.
지금 말하려는 수열의 수렴에 관한 정리는 해당 수열이 단조수열일 때를 말하는 것입니다. '단조수열(Monotonic sequences)'이란 감소하지 않는 수열 혹은 증가하지 않는 수열을 말합니다.
단조증가수열 = 감소하지 않는 수열 $\Leftrightarrow \;\;a_n\leq a_{n+1}$
단조감소수열 = 증가하지 않는 수열 $\Leftrightarrow \;\; a_n\geq a_{n+1}$
먼저 감소하지 않는 수열, 즉 단조증가수열을 고려해보겠습니다. 수열의 값이 1항, 2항, 3항 증가할 때마다 감소하지 않는다는 뜻은, 값이 같거나 커진다는 두 가지 경우만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수열의 극한을 도입하면, n이 무한대로 갈 경우 항의 값은 무한대가 나오거나, 아니면 특정한 값을 향해 가까이 다가가는 경우 밖에 없습니다. 전자의 경우엔 당연히 발산이라고 하고,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상황은 후자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수열
$$a_n=1-\frac{2}{n^2}$$
을 고려해봅시다. 수열의 극한값을 계산해보면 답이 1이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목적은 이 수열의 수렴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지 극한값을 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마치 극한에서 엡실론-델타 논법이 극한값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수렴 여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는 것과 유사합니다.
항의 값들을 평면에 찍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날 것입니다.
그러면 분명히 위로 볼록한 로그함수와 비슷한 개형이 그려지면서, 특정 L이라는 값이 수렴하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유계의 개념을 도입하면, 직관적으로라도 수열 an이 위로 유계면서, 무수히 많은 상계가 존재하고, 결국 그 상계중에 가장 작은 값인 최소상계가 극한값이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정리한 것이 단조수열정리/단조수렴정리에 해당합니다.
정리($CC$) 1.3
단조수열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그 수열이 유계인 것이다.
$$\lim_{n\rightarrow \infty}a_n=L\;\;\Leftrightarrow \;\;
\left | a_n \right |\leq C\;\;(L\leq C)$$
이걸 좀 더 풀어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조증가수열(감소하지 않는 수열) $\left \{ a_n \right \}$ 이 상계 $U$를 가지면 이 수열은 $A\leq U$ 인 어떤 값 $A$로 수렴하고, $A$는 극한값이자 최소상계(상한)이다.
단조감소수열(증가하지 않는 수열) $\left \{ b_n \right \}$ 하계 $L$을 가지면 이 수열은 $B\geq L$ 인 어떤 값 $B$로 수렴하고, $B$는 극한값이자 최대하계(하한)이다.
좀 더 나아가면 이것은 '실수의 완비성(Completeness property of the real numbers)' 와 같은 말입니다. 실수의 완비성이란 실수의 임의의 부분집합을 택하였을 때 그것이 위로 유계라면, 반드시 이 부분집합의 상계와 최소상계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추가적인 내용을 덧붙이면 인간은 자연이 연속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것이 이 세계에 뭔가 부합하고, 세계와 자연을 설명하는 언어인 수학에서 연속적인 특징을 가진 숫자가 진짜(real)라고 무의식 속에 받아들이기 때문에, 완비성, 즉 연속적인 체계를 가진 수의 집합을 '실수(real number)'라고 이름붙힌 것입니다. 그래서 실수의 여집합을 가상적인 숫자라 해서 허수(imaginary number)라고 한 것이죠.
수의 체계에 관련해서 심도있게 다루는 것이 본 목적은 아니기에 추가적인 설명은 하지 않겠지만, 만약 관심이 좀 더 많으시다면 이러한 내용은 해석학에서 다루는 편이니 해석학 책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기초 해석학)
'미적분학(Calculus) > 급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판정법 (Comparison Test) (0) | 2021.01.11 |
---|---|
합의 유계 판정법 (Bounded Sum Test) (0) | 2021.01.10 |
일반항 판정법, n항 판정법 (nth term Test) (0) | 2020.12.29 |
급수에서의 유계 (Bounded) (0) | 2020.12.29 |
수열과 급수의 기초 (Sequence, Series) (0) | 2020.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