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상수학(Topology)/실수

실수에서 열린집합, 닫힌집합(Open set and closed set in Real line)

by Gosamy 2024. 2. 13.
반응형

밀착점, 고립점, 극한점과 같은 특별한 점들의 종류를 익힐 때는 열린구간, 닫힌구간 정도의 중고교 수학 개념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이제 열린구간, 닫힌구간의 개념이 좀 더 확장된 열린집합, 닫힌집합을 다룰 것인데 특히 닫힌집합을 다룰 때 특별한 점들의 지식이 큰 영양분이 될 것입니다.

 

 

[그림 1] 바둑에서의 패(覇). '패권을 쥐다'의 그 으뜸 패 자다. 이 상황에서, 마치 백은 집을 완성해 '닫혀'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흑은 백8로 인해 7에 두지 못해 '열려'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돌을 어떻게 두다 보면 백이나 흑의 집이 열린 것도, 닫힌 것도 아닌 상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실수에서 집합의 종류 또한 그렇다. 열린집합과 닫힌집합 뿐만 아니라 둘 중 그 어느 것도 아닌 종류의 집합도 존재한다.


1. 수직선에서 열린집합과 닫힌집합

 

1) 열린집합

 

정의($T.P$) 1-11) 실수에서 열린집합(Open set in $\mathbb{R}$)
$A\subseteq\mathbb{R}$ 이 어떤 열린구간족의 합집합일 때 $A$ 를 '열린집합(open set)'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 $A$ 가 열린집합이라는 것은 어떤 각각의 $\alpha\in I$ 에 대하여 $V_{\alpha}$ 들이 열린구간 일 때, $A=\displaystyle \bigcup_{\alpha \in I}^{}V_{\alpha}$ 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이다.

 

열린집합의 개념은 열린구간의 그것을 일반화한 셈입니다. 여기서는 실수, 즉 수직선에서 적용되는 정의임을 기억합시다. 물론 차원을 높여 유클리드 공간으로 가게 되더라도 개념의 고갱이는 비슷하지만 서술 방식은 달라집니다.

 

또한 많은 교재에서 열린집합을 나타내는 기호로 $O,V$ 등을 사용합니다. 저는 여기서 일단 열린집합의 문자로 $A$ 를 썼고 그것을 만드는 열린구간들을 $V_{\alpha}$ 로 표기했지요. $O$ 는 그렇다 치고, $V$ 는 왜 사용할까요? 그것은 열린집합의 개념이 '근방(vicinity)'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열린집합의 정의를 보면, 열린집합은 열린구간들의 합집합으로 표현 가능한 집합을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열린집합은, 그 열린집합이 포함하는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을 조금씩 늘려 근방의 점들을 포함하도록 열린구간들을 잡고, 그것의 합집합에 해당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의 예시를 하나 봅시다.


예제 1) 실수 집합 $\mathbb{R}$ 이 열린집합임을 보여라.

 

sol) 실수 집합은 다음과 같이 열린집합의 합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mathbb{R}=(-\infty,\infty)=\displaystyle \bigcup_{n=1}^{\infty}(-n,n)$$
따라서 열린집합이다. $_\blacksquare$

재밌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실수집합은 흔히 $\mathbb{R}=(-\infty,\infty)$ 로 표현하고, 어떤 구간을 표현할 때 한 쪽이 음의 무한대 또는 양의 무한대가 있는 경우 그것을 소괄호로 써서 덮지, 닫힌구간을 뜻하는 대괄호를 사용하지 않음을 중고등학교 수학때부터 쭉 봐왔을 것입니다. 도대체 왜 그렇게 표시하는 것일까요? 즉 왜 $[-\infty,\infty]$ 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을까요?

 

그것은 바로 이 예제 1)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실수 집합을 무한한 열린구간의 합집합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n,n)$ 을 $n=1\longrightarrow \infty$ 로 무한히 덮어 나가게 된다면, 임의의 구간을 고르더라도 그 구간의 양 끝은 열려 있지, 닫혀 있지 않습니다.[각주:1] 즉 실수 집합이 열린 집합의 합집합으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에 $(-\infty, \infty)$ 의 표현에서 굳이 대괄호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게다가 무한대 기호 $\infty$ 는 어떤 특별한 '숫자'의 개념이 아니라 상징이기 때문에, 무한대와 닫힌기호를 동시에 쓰게 된다면 무한대라는 '숫자를 포함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게 되고, 이는 닫힌집합은 주어진 집합의 폐포[각주:2] 와 같은 집합이라는 닫힌집합의 특성[각주:3]에도 부자연스러워, 들어맞지 않습니다. 어떤가요? 납득이 되시나요? 그래서 이러한 개념은 정말 수학, 또는 수학교육학 전공자가 아니면 도저히 풍부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입니다.

 

 

정리($T.P$) 1.2) 열린집합과 동치인 명제들
TFAE : 다음은 모두 동치이다.
① $A$ 는 열린집합이다.
② 모든 $x\in A$ 에 대하여 $x$ 를 중심으로 하고 $A$ 에 포함되는 열린구간 $I_x$ 가 존재한다. 즉 $I_x= \left( x-\varepsilon, x+\varepsilon \right)\subseteq A\subseteq \mathbb{R}$ 이 성립하는 어떤 실수 $\varepsilon > 0$ 이 존재해야만 한다.
③ $A\neq \mathbb{R}$ 일 때, 각각의 $x\in A$ 에 대하여 $d(x,\mathbb{R}-A) > 0$ 이다.

 

열린집합의 정의를 다룰 때 $I$ 는 첨수집합(index set) 이지만 위 정리($A.N$) 9.2) 에서 $I_x$ 는 열린구간임에 주목합시다.

 

 

정리($T.P$) 1.3)
① 공집합과 $\mathbb{R}$ 은 열린집합이다.
② 임의의 열린집합족 $\left\{ V_{\alpha}\mid \alpha \in I \right\}$ 의 합집합 $\displaystyle \bigcup_{\alpha \in I}^{}V_{\alpha}$ 또한 열린집합이다.[각주:4]
③ 유한 열린집합족 $\left\{ V_i \right\}_{i=1}^{n}$ 에 대해, $\displaystyle \bigcap_{i=1}^{n}V_i$ 는 열린집합이다.

증명) ① 실수 집합이 열린집합임은 예제 1)에서 보였다. 반면 공집합의 경우 공집합이 열린집합이 아니라고 하자. 그러면 공집합은 열린구간족의 합집합이 아니다. 정의의 조건문의 가정이 거짓이므로 조건문은 참이라 공집합은 열린집합이 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공집합은 열린집합이다.

② $\left\{ V_{\alpha}\mid \alpha \in I \right\}$ 가 열린집합족이면 각각의 $V_{\alpha}$ 가 열린집합이라는 것이니 이들은 각각의 $\alpha \in I$ 마다 열린구간의 합집합이다. 그러면 $\displaystyle \bigcup_{\alpha \in I}^{}V_{\alpha}$ 는 열린구간의 합집합(= 열린집합)의 합집합이니, 열린집합이다.

③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n=2$ 일 때 $V_1,V_2$ 가 열린집합이고 $x\in V_1\cap V_2$ 라 하자. 정리($A.N$) 9.2)-② 에 의하여 $x$ 를 중심으로 하고 $V_1, V_2$ 에 각각 포함되는 열린구간 $I_1, I_2$ 가 존재한다. 그러면 $ I_1\cap I_2$ 는 $x$ 를 중심으로 하는 열린구간이고, $(I_1\cap I_2)\subseteq (V_1\cap V_2)$ 가 되므로 정리($A.N$) 9.1) 에 의해 $V_1\cap V_2$ 는 열린집합이다. 이제 $n=k$ 개로 이루어진 열린집합족 $\left\{ V_i \right\}_{i=1}^{k}$ 의 교집합이 열린집합족이라고 가정하고 $\left\{ V_i \right\}_{i=1}^{k+1}$ 을 생각하고 열린집합 $V_{k+1}$ 이 주어졌다고 하자. ②에 의하여 열린집합족의 합집합(여기서는 엄밀하게 따지면 열린집합족과 열린집합의 합집합)도 열린집합이니 $\left( \displaystyle\bigcap_{i=1}^{n}V_i \right)\cup V_{k+1} = \displaystyle\bigcap_{i=1}^{n+1}V_i$ 또한 열린집합이 된다. $_\blacksquare$

 

 

② 의 $\left\{ V_{\alpha}\mid \alpha \in I \right\}$ 와 ③ 의 $\left\{ V_i \right\}_{i=1}^{n}$ 의 차이점을 눈여겨 보아야 합니다. 전자는 인덱스 집합 $I$ 이고, 일반적으로 인덱스 집합에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인덱스 집합은 유한집합일 수도 있고, 무한집합일 수도 있어 가산 무한집합일수도, 비가산 무한집합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② 의 내용은 아무리 많은 열린집합을 합집합 시키더라도 열린집합이 아닐 수 없다는 뜻입니다. 반면, 후자의 개념은 인덱스 집합이 유한인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유한개의 열린집합의 교집합도 열린집합이라는 뜻입니다.

 

 

 

2) 닫힌집합

 

정의($T.P$) 1-12) 실수에서의 닫힌집합(Closed set in $\mathbb{R}$)
$B\subseteq \mathbb{R}$ 에 대해 여집합 $\mathbb{R}-B$ 가 열린집합이면 $B$ 를 '닫힌집합(closed set)'이라 정의한다.

 

주어진 집합의 여집합이 열린집합이 되면 그 집합을 닫힌집합으로 정의합니다. 이것은 열린집합의 부정이 닫힌집합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닫힌집합의 부정이 열린집합을 의미하지도 않습니다.


예제 3) 닫힌구간 $[a,b]$ 가 닫힌집합임을 보여라. $a,b\in\mathbb{R}$ 이다.

 

Sol) $\mathbb{R}-[a,b]=(-\infty,a)\cup (b,\infty)$ 은 열린집합의 합집합이므로 정리($A.N$) 9.3)-② 에 의하여 열린집합이다. 즉 $[a,b]$ 의 여집합이 열린집합이니 닫힌집합이다. $_\blacksquare$


 

정리($T.P$) 1.4) 열린집합과 닫힌집합은 부정의 관계가 아니다.
집합 $E\subseteq \mathbb{R}$ 이 열린집합이 아니라고 해서 꼭 닫힌집합인 것은 아니다. 역으로 닫힌집합이 아닌 것이라고 하여 꼭 열린집합인 것도 아니다.

증명) 반열린구간(반닫힌구간)을 생각하자. 실수에서 반열린구간은 열린구간도 아니고 동시에 닫힌구간인 것도 아니다. 따라서 열린구간이 아니면서 닫힌구간이 아닌 것이 존재하고 역으로 닫힌구간인 것 중 열린구간이 아닌 것도 존재한다. $_\blacksquare$

 

 

정리($T.P$) 1.5)
① 공집합과 $\mathbb{R}$ 은 닫힌집합이다.
② 임의의 닫힌집합족 $\left\{C_{\alpha}\mid \alpha \in I \right\}$ 의 교집합 $\displaystyle \bigcap_{\alpha \in I}^{}C_{\alpha}$ 또한 닫힌집합이다.
③ 유한한 닫힌집합족 $\left\{ C_i \right\}_{i=1}^{n}$ 에 대해, $\displaystyle \bigcup_{i=1}^{n}C_i$ 는 닫힌집합이다.

증명) ① 실수집합과 공집합은 열린집합임을 정리($A.N$) 9.3)-① 에서 보였다. $\emptyset^c=\mathbb{R}$ 이고 $\mathbb{R}^c=\emptyset$ 이므로 이들의 여집합이 열린집합이니, 실수 집합과 공집합 모두 닫힌집합의 정의를 만족시킨다. 

②  $\mathbb{R}$ 의 닫힌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족 $\left\{ C_{\alpha}\mid \alpha \in I \right\}$ 에 대해 여집합의 모임 $\left\{ \mathbb{R}-C_{\alpha}\mid \alpha \in I \right\}$ 가 열린집합이라는 뜻이다. 그러면 정리($A.N$) 9.3)와 드 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displaystyle \bigcup_{\alpha\in A}^{}\left( \mathbb{R}-C_\alpha \right)=\mathbb{R}-\displaystyle \bigcap_{\alpha \in A}^{}C_\alpha$ 는 열린집합이 된다. 그러면 닫힌집합의 정의의 의해 $\displaystyle \bigcap_{\alpha \in A}^{}C_\alpha$ 는 닫힌집합이 된다.

③ $\mathbb{R}$ 의 닫힌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족 $\left\{ C_i \right\}_{i=1}^{n}$ 가 주어지면 $\left\{ \mathbb{R}-C_i \right\}_{i=1}^{n}$ 는 열린집합족이니, 정리($A.N$) 9.3) 와 드 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displaystyle \bigcap_{i=1}^{n}\left( \mathbb{R}-C_i \right)=\mathbb{R}-\displaystyle \bigcup_{i=1}^{n}C_i$ 는 열린집합이고, 따라서 $\displaystyle \bigcup_{i=1}^{n}C_i$ 는 닫힌집합이 된다. $_\blacksquare$

 

 

실수집합과 공집합은 열린집합이자 닫힌집합입니다. 이러한 집합을 '열닫집합(Clopen set)'이라 합니다.

 

 

정리($T.P$) 1.6) 한원소집합은 닫힌집합이다.
$a\in \mathbb{R}$ 만으로 이루어진 한원소집합(singleton set) $\{ a\}$ 는 닫힌집합이다.

증명) $\mathbb{R}-\{ a\}$ 는 열린구간이다. 임의의 $x\in (\mathbb{R}-\{ a\})$ 를 생각하자. 그러면 $x$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varepsilon = \left| x-a \right|$ 인 구간 $(x-\varepsilon , x+\varepsilon)$ 을 언제나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정리($A.N$) 9.1)-② 에 의해 $\mathbb{R}-\{ a\}$ 는 열린집합이니, $\{ a\}$ 는 닫힌집합이다. 이는 $\{ a \}=[a,a]$ 라는 점, 곧 단원소집합을 닫힌구간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우리의 기존 개념에 부합하기도 한다. $_\blacksquare$

 

 


예제 4) $a,b\in\mathbb{R}$ 에 대해 반열린구간 $[a,b)$ 는 열린집합도, 닫힌집합도 아닌데, 그 이유를 밝혀라.

 

 

Sol) 주어진 구간은 $a$ 를 중심으로 하는 열린구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열린집합이 아니다. 그리고 $\mathbb{R}-[a,b\}=(-\infty,a)\cup [b.\infty)$ 는 $b$ 를 중심으로 하는 열린구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열린집합이 아니다. 그러니 $[a,b)$ 는 닫힌집합도 아니다. $_\blacksquare$

 

 

 

 

[참고문헌]

Fred H. Croom, Principles of Topology

 

 

 

 

  1. 내부점이 아닌 밀착점, 즉 극한점(집적점)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뜻 [본문으로]
  2. 밀착점을 모두 포함하는 집합 [본문으로]
  3. 그래서, 닫힌집합의 정의 자체를 주어진 집합과 그것의 폐포가 동일한 집합으로 정의하기도 합니다. 물론 아래에서 후술할 여집합이 열린집합일 때에 해당하는 정의를 더 즐겨 쓰기는 하지만요. [본문으로]
  4. 열린집합의 정의에서는 $A$ 가 열린'구간'족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때 $A$ 를 열린집합이라 하겠다는 것입니다. 반면 이 내용은 열린'집합'족의 합집합을 만들어도 그것이 열린집합이라는 뜻이니 두 개념의 의미가 다릅니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