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분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고급 상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에서 정상점과 특이점 (Ordinary point and singular point in the Differential Equation)

by Gosamy 2021. 1. 31.
반응형

미분방정식의 해를 급수 형태라 가정하고 해를 찾는 풀이법을 프로베니우스 방법이라 하며 바로 전 포스팅에서 설명했습니다. 프로베니우스 방법이 먹히려면 주어진 미분방정식이 특정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점'과 관련된 성질입니다. 이를 오늘 본격적으로 파헤쳐 볼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2계 선형 동차 상미분 방정식의 일반적인 형태를 봅시다.

 

$$P(x)y''+Q(x)y'+R(x)y=0$$

 

여기서 $P,Q,R$ 이 해석함수(그러나 아주 많은 경우에 이들은 다항함수 형태이니, 다항함수라 생각해도 됩니다)라 하고, 공통인수를 갖지 않는 꼴이라 생각할 것입니다. 공통인수를 가지면 그것으로 나누라는 뜻입니다. (즉, $P,Q,R$ 은 셋이서 놓고 보았을 때 특정 인수로 인수분해가 더 이상 안되는 관계라는 것)

 

여기서, 미분방정식의 양변을 $P(x)$로 나누면 $p(x)=\displaystyle\frac{Q(x)}{P(x)}\;\;,\;\;q(x)=\displaystyle\frac{R(x)}{P(x)}$ 이라 하였을 때

 

$$y''+p(x)y'+q(x)y=0$$ 

 

와 같이 방정식이 수정됩니다. 이러한 꼴의 2계 미분방정식은 초기조건 $y(x_0)=y_0\;\;,\;\;y'(x_0)=y_0'$ 이 주어졌을 때 해를 찾을 수 있다는 해의 유일성, 존재성을 보장하는 정리가 밝혀져 있습니다. 이 정리는 일반적으로 학부 수준에서 증명하지 않으며, 그냥 간단히 2계 미분방정식의 해는 저러한 초기조건 2개가 주어지면 유일하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계수가 상수인 2계 선형 미분방정식을 수많이 풀어보면서 경험적으로 받아들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양변을 나눌 때 $P(x)=0$ 이 될 수도 있겠지요? 이에 관련된 두 가지 점의 종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계 선형 미분방정식

$$P(x)y''+Q(x)y'+R(x)y=0$$
에서 $P(x_0)\neq 0$ 인 점 $x=x_0$ 를 '정상점·보통점(Ordinary point)'이라 한다. 반면 $P(x_0)=0$ 이 되는 점 $x=x_0$ 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 한다.

특이점은 다시 두가지 부류로 나눈다. 만일 극한

$$\lim_{x\rightarrow x_0}\left ( x-x_0 \right )\frac{Q(x)}{P(x)}\;\;,\;\;\lim_{x\rightarrow x_0}\left ( x-x_0 \right )^2\frac{R(x)}{P(x)} $$
이 유한한(finite) 경우는 '정칙 특이점(Regular singularity)'이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칙 특이점(irregular singular point)'이라 부른다.

 

정상점(보통점)과 특이점의 정의는 위와 같습니다. 그리고 특이점은 다시 정칙 특이점과 비정칙 특이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번역된 용어보다는 원어(Regular, irregular)로 받아들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수학에서 '정칙(正則)'이라고 하면 대체로 나쁘다기보다는 좋은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잦습니다.

 

이 점들을 분류하는 이유는 로베니우스의 방법은 반드시 정상점이나 정칙특이점 근방에서만 (이 점을 중심으로 하는) 멱급수 꼴의 급수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비정칙 특이점 근방에서 프로베니우스 방법을 쓰면, 미분방정식을 만족하는 급수해를 얻는데 실패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까닭과 더불어, 왜 정칙 특이점은 하필 왜 $xp(x)$ 와 $x^2q(x)$ 의 극한이 유한할 때로 정의했는지에 관한 의문증들이 생길 것입니다. 그리고 장담컨대 이 글로 여기 오신 분들은 단순히 정칙점과 특이점의 개념을 넘어서 최종적으로 정칙 특이점일 땐 급수해를 얻는 방법이 가능하다는 내용까지 달려야 하실 겁니다. 결론부터 보려면 여기를 참조하시면 되지만, 순서대로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즉 다음 포스팅인 Fuch's Theorem 을 자세히 파고들다 보면 차차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보통 저 정리를 학부 수준에서 증명하기 힘들기 때문에 완벽한 증명은 어렵고, 복잡하지 않은 수준의 설명과 여러 문제를 통한 경험을 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