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상수학(Topology)/위상공간

순서위상과 광선(Order topology and ray)

by Gosamy 2024. 4. 10.
반응형

순서위상은, 전순서가 주어진 집합에서 위상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집합론의 전순서 개념을 필히 알고 있어야 하고, 순서위상의 개념을 이용하여 구간(interval)에 대한 정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림 1] 사전, 사전위상


1.순서위상

 

1) 구간의 정의

정의($T.P$) 2-10) 구간(intervals)
전순서(선형순서)집합 $(X,\leq)$ 를 생각하자. $a<b$ 인 두 원소 $a,b\in X$ 에 대하여, 아래의 네가지 $X$ 의 부분집합을 $a,b$ 에 의해 결정되는 '구간(intervals)'라 한다.
① 열린구간(open interval) : $(a,b)=\{ x\in X \mid a< x < b\}$
② (오른쪽)반열린구간(half open interval) : $[a,b)]=\{ x\in X\mid a\leq x < b\}$
③ (왼쪽)반열린구간(half open interval) : $(a,b]=\{ x\in X\mid a< x\leq b \}$
④ 닫힌구간(closed interval) : $[a,b]=\{ x\in X \mid a\leq x \leq b\}$

 

이렇게 네 종류의 구간의 정의는 위상수학에서 정확히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순서위상의 정의

정의($T.P$) 2-11) 순서위상(order topology)
전순서집합 $(X,\leq)$ 에 대해 $X$ 가 적어도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원소를 갖는다고 하자. 그리고 $\mathcal{B}$ 를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족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cal{B}$ 는 $X$ 위에서의 위상의 기저가 되며, 이 위상을 '순서위상(order topology)'라 한다.
① 모든 $a< b$ 인 $a,b\in X$ 에 대하여, 열린구간 $(a,b)=\{ x\in X\mid a < x < b \}$
② $X$ 의 최소원소 $a_0$ 가 존재하면, 모든 반열린구간 $[a_0, b)=\{ x\in X \mid a_0 \leq x < b\}$, 최소원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모든 $(-\infty,b)=\{ x\in X \mid x < b\}$ 형태의 집합들
③ $X$ 의 최대원소 $b_0$ 가 존재하면, 모든 반열린구간 $(a,b_0]=\{ x\in X\mid a< x \leq b_0 \}$, 최대원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모든 $(a,\infty) = \{ x\in X \mid a < x\}$ 형태의 집합들
즉, 임의의 $B\in\mathcal{B}$ 는 위 셋 중 하나를 만족하는 구간에 해당한다는 뜻이다.

정리($T.P$) 2.9) 
전순서집합 $(X,\leq)$ 에 대해 $X$ 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원소를 가지고 있다고 하고,
$$\mathcal{S}=\left\{ (-\infty, a) \mid a\in X\right\}\cup \left\{ (b,\infty)\mid b\in X \right\}$$ 이라 하자. 그러면 $\mathcal{S}$ 는 $X$ 위에서의 위상 $\mathcal{T}_{\mathcal{S}}$ 를 생성하는 부분기저이다.

증명 ) 정리($T.P$) 2.8) 에 의하여 $\mathcal{S}$ 가 덮개 조건을 만족하는지만 확인하면 충분하다. $x\in X$ 에 대해 다음 세 가지 경우를 고려하자.

i) 최대원소가 존재할 때 $x=\max \{ X\}$ 에 대해서 생각하자 : $b<x$ 를 만족하는 $b\in X$ 가 존재하므로[각주:1], $x\in (b,\infty) = (b,x]\subseteq \mathcal{S}$ 가 성립한다.
ii) 최소원소가 존재할 때 $x=\min \{ X\}$ 에 대해서 생각하자 : $x<a$ 를 만족하는 $a\in X$ 가 존재하므로[각주:2], $x\in (-\infty,a)=[x,a)\subseteq \mathcal{S}$ 가 성립한다.
iii) 최대원소와 최소원소가 아닌 $x\in X$ 에 대해서 생각하자 : $x<b$ 이고 $x>a$ 를 만족하는 $a,b\in X$ 가 존재하므로[각주:3], $x\in (-\infty, a)\subseteq \mathcal{S}$ 가 성립한다. 물론 $x\in (b,\infty)\subseteq \mathcal{S}$ 또한 성립한다.

따라서 임의의 $x\in X$ 가 $X$ 의 최대원소이든, 최소원소이든, 둘 다 아니든, 그 어떤 경우에도 모든 $x\in X$ 는 $\mathcal{S}$ 에 포함되고, 이는 곧 $\mathcal{S}$ 에 포함된 집합들은 $X$ 의 모든 점을 덮는다는 뜻이다. 이로서 정리($T.P$) 2.8) 의 가정이 만족되었고, 결론에 의해 $\mathcal{S}$ 는 $X$ 위에서의 어떤 위상 $\mathcal{T}_{\mathcal{S}}$ 의 부분기저라고 할 수 있다. $_\blacksquare$



정의($T.P$) 2-11) 을 보면, 그렇게 $\mathcal{B}$ 를 정의하였을 때 진짜 이것이 기저가 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즉 이 순서위상이라는 개념이 잘 정의되었는지 검증을 해야 한다는 뜻이죠. 그러면 $\mathcal{B}$ 가 기저임을 정의를 통해 증명하면 되는데, 그렇게 하는 방법 대신에 정리($T.P$) 2.9) 를 증명한 것입니다. 이를 증명하면, $\mathcal{S}$ 가 부분기저라는 것이 드러나기 때문에, 부분기저의 존재성은 기저의 존재성을 보장해주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이 증명 과정을 보면 $\mathcal{S}$ 에 대응되는 기저 $\mathcal{B}$ 라는 것이 정의($T.P$) 2-11) 에서 말한 세 가지 case 에 해당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대응되는 기저 $\mathcal{B}$ 가 정의에서 말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예제 1) 실수에서 일반적인 대소관계 '$<$' 를 부여하여 만든 순서위상은, 보통위상 $\mathbb{R}$ 과 동일함을 설명하여라.

Sol) 실수에서 일반적인 대소관계 $<$ 가 주여졌을 때, $(\mathbb{R}, <)$ 는 전순서집합이다. 그러면 정리($T.P$) 2.9) 에 의하여, $\mathcal{S}=\left\{ (-\infty, a) \mid a\in X\right\}\cup \left\{ (b,\infty)\mid b\in X \right\}$ 는 만들어질 위상(순서위상)의 부분기저가 되고, 이로부터 유도되는 $S\in\mathcal{S}$ 의 유한 교집합들로 이루어진 $B\in\mathcal{B}$ 로 만들어진 기저는 $\mathcal{B}=\mathcal{B}_{\mathcal{S}} =\left\{ (a,b)\mid a,b\in\mathbb{R}\; ,\; a< b \right\}$ 가 된다.[각주:4] 이는 보통위상의 정의와 명백히 일치한다.$_\blacksquare$


예제 2) 두 집합의 곱집합에 대한 '사전순서(dictionary order)'[각주:5]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임의의 $x\in X, y\in Y$ 에 대하여, $X\times Y$ 에서의 사전순서를 기호 $<$ 이라 적기로 하자. 그러면 $(a,b) < (c,d)$ 가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i) 첫번째 좌표가 작다 : 즉 $a< c$ 를 만족하거나, ii) 첫번째 좌표가 같고 두번째 좌표가 작다 : $a=c \;\wedge \; b< d$ 인 것이다.

$X=Y=\mathbb{R}$ 인 경우, 즉 $\mathbb{R}^2=\mathbb{R}\times \mathbb{R} = \{ a\times b \mid a,b\in \mathbb{R}\}$ 에 사전순서를 부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1) 사전순서집합 $(\mathbb{R}\times \mathbb{R} , <)$ 에는 최소원소나 최대원소가 없음을 보여라.
2) 사전순서에서 $a=c$ 이고 $b=d$ 인 경우가 제외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3) 기저의 형태를 찾아라.
4) 이 사전순서위상 $\mathbb{R}^2$ 는 $\mathbb{R}^2$ 위에서 보통위상과 같은지, 같지 않은지를 의논하라.

 


Sol) 1) 사전순서를 갖는 집합에서 최소원소나 최대원소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 순서집합의 모든 원소들이 특정 원소보다 크거나 작다는 뜻이다. 그런데 임의의 $(a,b)\in \mathbb{R}^2$ 를 선택하더라도, 언제나 $a$ 보다 작은 실수, $b$ 보다 작거나 큰 실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원소도 모든 다른 원소들에 대해 최소나 최대가 될 수 없다. 예컨대 어떤 원소 $(a,b)$ 에 대해서도, $(a, b-1)$ 또는 $(a-1, b)$ 와 같은 더 작은 원소를 잡을 수 있고, $(a, b+1)$ 또는 $(a+1,b)$ 와 같이 더 큰 원소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말하자면 이 사실이 성립하는 근본적인 이유란 실수집합에 순서를 일반적인 숫자의 대소관계 $<$ 로 주었을 때, 최대원소나 최소원소가 없음[각주:6] 에서 유도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아래에서 이 순서위상의 기저원소를 생각할 때, 그 어떤 기저원소도 정의($T.P$) 2-11) 의 ②,③ 을 만족시키지 않아서, 기저원소는 항상 ①을 만족하는 것만 존재함을 알게 될 것이다.

2) 사전순서에서, $\mathbb{R}^2$ 의 원소로 $(a,b)$ 와 $(c,d)$ 를 뽑는다고 하고, 이때 $a=c\;\wedge \; b=d$ 를 생각하자. 이는 단일한 한 점 $(a,b)=(c,d)$ 에 해당한다. 그런데 순서위상에 정의 세 조건을 보면, 하나의 점은 반드시 열린구간 내에 포함되거나, 끝점이 되기 위해서는 최대원소나 최소원소여야 한다. 1)에서 사전순서를 갖는 집합에는 최대원소나 최소원소가 없음을 보였으니, 이 단일점 $(a,b)=(c,d)$ 는 반드시 열린구간 $((a\times b), (c\times d))$ 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런데 한 점이 스스로 열린구간을 구성할 수는 없으므로, 단일점을 포함하는 구간은 열린구간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위상의 원소가 될 수 없으므로 사전순서가 부여된 위상공간에서 단일점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

3) 기저를 만들 때는 순서위상의 정의를 생각하면 된다. $X=\mathbb{R}^2$ 이므로, 기저는 어떤 $\alpha, \beta\in \mathbb{R}^2$ 에 대하여 $(\alpha,\beta)$ 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고로,

$$\mathcal{B}=\left\{ (a\times b, c\times d)\subset \left( \mathbb{R}^2\times \mathbb{R}^2 \right)
\mid \left( a< c \right) \;\vee \; \left( a=c\;\wedge \; b< d \right) \right\}$$

와 같이 적을 수 있다. 이렇게 기저를 잡으면, 순서위상의 정의에 의하여 임의의 기저원소 $B\in\mathcal{B}$ 은 정의($T.P$) 2-11) 의  ① 조건을 항상 만족하는 꼴이다. 따라서 이 기저 $\mathcal{B}$ 는 집합 $\mathbb{R}^2$ 에서 위상을 생성한다.

 

4) 글쓴이가 '위상'이라는 개념의 직관적 이해를 설명한 바가 있어서 이를 통해 설명해보겠다. 이에 따르면, 어떤 집합(=위상공간이 될)에 위상을 부여한다는 것은 그 집합 내의 원소들을 어떻게 연결하고, 얼만큼 가깝게 배치할 것인지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같은 집합 $\mathbb{R}^2$ 내에서 원소들을 어떻게 연결하고 배치할 것인지의 규칙이 다르다면, 사전순서위상과 보통위상 또한 다를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사전순서위상에서의 규칙은 마치 두 원소들을 사전처럼, 일렬에 앞/뒤로 배치하는 것과 같다. 예컨대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가령'과 '가설'이라는 두 단어가 제시되면 규칙에 따라 '가령'을 앞에, '가설'을 뒤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단어들이 '줄을 서는' 느낌에 가깝다. 반면, 보통위상이라는 것은 제시된 두 원소를 비교해서 앞과 뒤의 순서를 매기는 느낌이 아니고, 그냥 $\mathbb{R}$ 에 들어있는 두 원소를 임의로 콕 집어서 그것을 단순히 열린구간 $(a,b)$ 로 연결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열린구간 내의 어떤 원소를 하나 짚었을 때, 그 원소를 둘러싸는 열린구간 $(a,b)$, 2차원에서는 작은 원(근방), 사각형, 3차원에서는 개구(open ball) 등의 개념인 것이다.


예제 3) 자연수의 정렬성에 의해 $\mathbb{N}$ 의 부분집합에 순서를 부여하면 항상 최소원소를 찾을 수 있다. $\mathbb{N}$ 에서의 순서위상을 이산위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그러면 모든 단원소집합을 열린집합으로 만들 수 있음을 보여라.

 

Sol) 문제를 잘 보면 $\mathbb{N}$ 에서의 순서위상을 이산위상으로 택할 수 있다는 것이지, 이산위상만이 존재한다는 뜻이 아님에 주의하라. 이산위상에서는 주어진 집합(여기서는 $\mathbb{N}$) 의 모든 원소들이, 단원소집합 형태로 위상의 원소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연수 집합의 모든 단원소집합을 순서위상의 정의에서 말하는 기저로 취급할 수 있는지, 즉 단원소집합들을 열린집합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 분석해보면 된다.

 

1보다 큰 자연수 $n>1$ 을 생각하자. 단원소집합 $\{n \}$ 은 열린구간 $(n-1, n+1)$ 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임의의 $1<n\in\mathbb{N}$ 은 $(n-1,n+1)=\{ n\}$ 으로 적을 수 있으므로, 순서위상의 기저원소가 된다. 반면, $n=1$ 은 자연수 집합의 최소원소이고, 일 때는 $\{ 1\} = [1,2)$ 로 표현할 수 있으니 이 또한 순서위상의 기저원소가 된다. 따라서, 자연수 집합에 순서위상을 이산위상으로 부여할 수 있다. $_\blacksquare$


2. 광선(ray)

1) 정의

 

정의($T.P$) 2-12) 광선(Ray)
$X$ 가 전순서집합이고 $a\in X$ 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의 네가지 $X$ 의 부분집합들을 $a$ 에 의해 결정되는 '광선(rays)'이라고 정의한다.
① 열린광선(open rays) : $(a,\infty):=\{ x\mid x> a\}$ 와 $(-\infty, a):= \{ x\mid x < a\}$
② 닫힌광선(closed rays) : $[a,\infty):=\{ x\mid x\geq a\}$ 와 $(-\infty, a]:=\{ x\mid x\leq a\}$

 

이 용어는 영단어로는 ray인데, 개념을 보면 무한대를 구간의 한 쪽 끝으로 하여 만든 반직선 개념에 가깝습니다. 단지 점 $a\in X$ 가 끝점으로서 포함되어 있는지, 포함되어 있지 않는지에 따라 각각 반열린구간과 열린구간이 됩니다. 어쨌든 한 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뻗어나간다는 개념이라서, 손전등으로 빛을 쏘는 것과 같아 그냥 번역을 직역하여 광선이라고 했습니다.

 

 

정리($T.P$) 2.10) 광선들은 순서위상을 구성한다.
집합 $X$ 에 속하는 열린광선들은 순서위상의 원소이다. 즉 순서위상에 포함되어 있는 열린집합이다.

증명) $X$ 에 최대원소가 없다고 생각하고 열린광선 $(a,\infty)$ 를 생각해보자. 이는 적당한 $a<b$ 인 $b\in X$ 로 구성된 열린구간 $(a,b)$ 들의 합집합, 곧 $\displaystyle \bigcup_{\forall b\in X}^{}(a,b)$ 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각주:7] 이때 $a,b\in X$ 이므로 열린구간 $(a,b)$ 는 정의($T.P$) 2-11) 의 순서위상의 기저집합 조건 ①을 만족하게 되어 순서위상 $\mathcal{T}_o$ 의 원소, 즉 열린집합이 된다. 다시 말해 열린구간 $(a,b)$ 가 순서위상의 정의에서 기저원소 $B\in \mathcal{B}$ 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각주:8] 만일 $X$ 에 최대원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max{X}:= b_0$ 라고 잡으면, 우리의 열린광선을 $(a,\infty)=(a,b_0]$ 와 같이 처리할 수 있고, 이것은 순서위상의 정의에서 ②를 만족하는 기저원소에 해당한다.

$X$ 에 최소원소가 없을 때도 비슷하게 $(-\infty,a)$ 에 대해 이번에는 $b<a$ 인 $b\in X$ 를 잡아서 증명할 수 있고, 최소원소가 있다면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의($T.P$) 2-11)-③ 을 만족하게끔 우리의 열린광선을 기저원소의 꼴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X$ 의 열린광선은 순서위상의 원소, 곧 열린집합이 된다. $_\blacksquare$

 

 

 

 

 

[참고문헌]

James Munkres, Topology 2E

 

 

 

 

  1. 왜냐하면 $X$ 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원소를 갖는다고 가정했는데, 한 놈 $x$ 가 최대원소면 나머지 한 놈 $b<x$ 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논리다. [본문으로]
  2. 마찬가지로 $x$ 가 최소원소이면, $X$ 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원소를 갖는다고 가정했으니 남은 $a > x$ 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본문으로]
  3. $x$ 가 최대원소도, 최소원소도 되지 않으려면 $X$ 의 원소의 개수는 적어도 셋 이상이 되어야 하고, $a < x < b$ 를 만족하는 두 $a,b\in X$ 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문으로]
  4.  $\mathcal{S}$ 가 부분기저임이 밝혀지면, $\mathcal{B}$ 가 기저가 확실히 된다는 것이 자동으로 만족됨에 유의. 기저의 정의 두 조건을 재차 확인할 필요가 없음.  [본문으로]
  5. 마치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때의 순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명명된 이름입니다. 만일 '가령'이라는 단어와 '마차'라는 단어를 찾을 때는 '가'가 '마'보다 앞에 있기 때문에 '가<마'의 관계가 성립하고, '가령'과 '가설'을 비교할 때는 앞 글자가 동일하니 뒷 글자 '령'와 '설'을 비교해서 '령<설'임을 통해, '가설'이란 단어는 사전에서 '가령'보다는 뒷장에 나올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하나의 예시로 떠올려 볼 수 있겠지요. 또한, 실제로는 사전에 동음이의어 등이 있다는 점에서 동일원소를 취급하지 않는다는 특징($a=b\;\wedge \; c=d)$ 은 수학과 사전의 차이라 볼 수 있고, 또 실제 사전책은 유한하여 첫 장과 마지막 장이 있지만, 수학의 사전순서에는 $\mathbb{R}\times \mathbb{R}$ 로 잡았기에 최대원소가 최소원소가 없다는 것을 아래에서 보일 것입니다. [본문으로]
  6.   링크에서 예제 2) 참조  [본문으로]
  7. 그러니 $b\in X$ 는 $a< b$ 를 만족하는 '무수히 많은' 수가 되는 셈이다. [본문으로]
  8. 이렇게 순서위상의 원소인 열린집합이 실제로 되기 때문에, 작명을 '열린'광선이라고 한 것이기도 합니다. [본문으로]

댓글